전체 글(1777)
-
덕동 맑은물 플라워가든의 코스모스와 황화코스모스
덕동 맑은물 플라워가든에는 코스모스와 황화코스모스가 다양한 색으로 피어 바람에 한들거리면서 예쁜 모습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코스모스 - 가을바람에 한들거리는 모습이 소녀가 수줍음을 타는 것처럼 보이는 코스모스의 꽃말은 소녀의 순정, 순수입니다. 황화코스모스 - 황색의 꽃이 피는 황화코스모스 꽃말은 넘치는 야성미입니다.
2022.10.06 -
창원특례시 마산합포구 덕동 맑은물 플라워가든 - 핑크뮬리, 코스모스, 백일홍
창원특례시 하수도사업소는 9월 17일 ~ 10월 23일까지 마산합포구 덕동물재생센터 내에 있는 덕동맑은물 플라워가든을 개방하고 있습니다. 덕동 맑은물 플라워가든에는 핑크뮬리와 코스모스, 백일홍이 활짝 피어 아름다움을 뽐내고 있습니다. 플라워가든의 꽃들 핑크뮬리 - 부드럽고 화사한 분홍색 꽃, 꽃말은 고백 코스모스와 황화코스모스 백일홍 *코스모스와 백일홍은 다시 소개 합니다.
2022.10.05 -
꽃이 없는 과일?, 무화과, 무화과 꽃말, 무화과 효능
무화과(fig)는? 꽃이 없는 과일이라고 해서 무화과(無花果)라는 이름이 붙었지만, 실제로는 꽃이 과실 안에서 피어 밖으로 보이지 않을 뿐이어서 꽃을 품은 과일, 석류를 닮은 과일, 여왕의 과일이라고도 하며, 가지와 잎을 꺾으면 나오는 하얀 진은 살충력이 강해 벌레가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꽃은 열매 안쪽에 촘촘히 황색으로 펴있고, 무화과 꽃말은 풍요한 결실, 열심, 다산입니다. 열매는 날것(껍질째 먹는 것이 가장 좋음, 거북하면 바나나처럼 껍질을 벋기고)으로, 잼이나 통조림으로, 말려서 먹을 수 있습니다. 소화를 돕고 변비 예방, 식욕부진, 노화 방지, 피로 회복, 인후통, 장염, 이질, 치질, 설사, 잎을 물에 넣어 목욕하면 신경통이나 혈압강하에 효과, 뿌리는 관절통, 근육통, 치질 예방 등의 효능이..
2022.10.04 -
왕고들빼기, 왕고들빼기 꽃말, 왕고들빼기 효능
왕고들빼기(Indian lettuce)는? 고들빼기 중 키도 크고 쓴맛도 강해 최고의 왕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으로, 산과 들에서 질자라는 한해 또는 두해살이풀입니다. 영어 이름 Indian lettuce는 인디안 상추라는 뜻이니 인디안 들도 채소로 먹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꽃은 7월~9월에 연한 노란색으로 낮에 피었다가 저녁에 오므라들며, 다른 이름으로 산호거, 고개채, 고마채, 압자식, 약사초, 새똥 등으로 불리고, 꽃말은 모정입니다. 손으로 꺾어 보면 흰색의 유즙이 나오는데, 쌉쌀한 맛이 납니다. 봄에 어린 싹이 올라 왔을 때에 뿌리째 채취하여 김치로, 장아찌로, 초고추장에 무쳐 먹고, 여름에는 끝을 꺾어주면 가지를 치면서 새순이 계속 올라오기 때문에 봄부터 가을까지 올라오는 잎을 계속 나물로, ..
2022.10.03 -
야생 콩 꽃(돌콩, 새콩, 동부콩)과 여우팥꽃
들길에서 만난 야생 콩 꽃과 팥꽃입니다. 돌콩 새콩 동부콩 여우팥 아름다움은 내가 어떤 느낌을 갖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2022.10.01 -
큰꿩의비름 꽃, 큰꿩의비름 꽃말, 큰꿩의비름 효능
큰꿩의비름(Live forever, Showy Sedum)은? 꿩의비름속에 속하는 식물 중에서 개체가 상대적으로 크다는 의미에서 큰을 붙여 큰꿩의비름이라 하며, 전국에 분포하고 잎이 다육질이며 산의 양지에 자생하는 여러해살이풀입니다. 꽃은 8월∼9월에 줄기 끝에 빽빽이 달려서 피고 연한분홍색으로 개화하여 차츰 진한분홍색으로 변하며, 다른 이름으로 구화, 화모, 화소초, 미인초 등이 있으며, 큰꿩의비름 꽃말은 순종, 희망, 생명입니다. 어린잎은 나물로, 꽃이 아름답고 향기가 좋아 암석정원의 화단에 관상용으로 심으며, 생약명은 경천(景天)이라 하고 전초를 건조하여 끓여 먹거나 즙을 내어 사용하며, 피부병, 피부미용, 화농, 부스럼, 땀띠, 종기, 청열, 해독, 지혈, 강장보호, 강정제 등의 효능이 있습니다.
2022.09.30 -
코스모스, 코스모스 꽃길
가을꽃 코스모스가 흰색, 분홍색, 빨간색으로 활짝 피어 반갑게 인사하는 꽃길을 걸으면서 즐거운 시간 보내고 왔습니다. 활짝 핀 코스모스 여러가지 색의 코스모스 코스모스 꽃길
2022.09.29 -
생활용품의 재료, 싸리나무, 싸리나무꽃, 싸리나무 꽃말
싸리나무(Bush Clover)는? 옛날부터 생활용품(사립문, 싸리비, 삼태기, 바소쿠리, 광주리, 키, 지팡이 등), 회초리로 가장 흔하게 쓰는 나무였고, 전국 각처의 산지에 22종류가 있는데, 모양이 서로 많이 닮아 종류 구분 없이 그냥 싸리라고 부릅니다. 참싸리나무 ↑↓ 참싸리나무 ↑↓ 대궁 하나에 잎이 세 개씩 달리는 3출엽으로는 싸리, 참싸리, 조록싸리가 있고, 조록싸리만 잎 끝이 뾰족하고 싸리와 참싸리는 동그스름합니다. 싸리나무 ↑↓ 꽃은 7월~9월에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 모양과 흰색, 보라색, 분홍색 등으로 피고, 다른 이름으로 사리, 비싸리, 야화생, 야합초, 녹명화, 좀풀싸리 등이 있으며, 꽃말은 생각, 사색, 상념입니다. 낭아초 ↑↓ 어린순은 나물로, 물 끓여 먹기(건조된 싸리나무 3..
2022.09.27 -
봉황을 닮은 꽃, 봉선화(봉숭아)꽃, 봉선화 꽃말
봉선화(Touch-me-not, Garden balsam)는? 일제치하 식민지 시대에 민족의 한을 노래한 울밑에선 봉선화야입니다. 꽃의 생김새가 마치 봉황을 닮아 봉선화(鳳仙花)라고 하며 봉숭아라고도 부릅니다. 뱀이 싫어하는 냄새를 풍겨 골목길이나 장독대 주변에 심었던 꽃, 언제부터인가 부녀자들이 손톱을 물들이는 꽃으로 우리에게 친숙하며, 인도·말레이시아·중국이 원산지인 한해살이풀입니다. 꽃은 7월~9월에 꽃잎이 통형으로 분홍색, 붉은색, 흰색으로 피며, 다른 이름으로는 봉숭아, 한진주, 만당홍, 금봉화, 지갑화, 금사화 등이 있으며, 봉선화 꽃말은 나를 건드리지 마세요입니다. 씨방은 털이 나 있고, 익었을 때 만지면 다섯 조각으로 탄력 있게 터지면서 황갈색의 씨가 튀어나옵니다. 흰 꽃이 피는 토종 봉선..
2022.09.26 -
애기땅빈대와 큰땅빈대, 애기땅빈대 꽃말
애기땅빈대(Milk Purslane)는? 원산지가 북아메리카이며, 밭이나 길가에 자라는 한해살이풀로 줄기는 땅을 기면서 자라는데 연한 붉은 색을 띠어 두 갈래로 갈라져 자라고, 잎은 긴둥근꼴로 마주납니다. 다른 이름으로 좀땅빈대, 애기점박이풀, 지봉초, 비단풀 등이 있으며, 꽃은 6월~10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모여 피고, 애기땅빈대 꽃말 가사에 근면입니다. 생약명으로 지금(地錦), 승야(承夜), 혈풍초(血風草), 포지금(鋪地錦) 등이 있으며, 혈액순환과 지혈작용, 젖 분비 촉진 등의 효능이 있습니다. 큰땅빈대(Eyebane)는? 원산지는 북아메리카이며 우리나라에는 중부와 남부 지방 하천변 고수부지 또는 밭이나 길가에 자라는 한해살이풀로 줄기는 비스듬히 자라며, 땅빈대와 애기빈대에 비해 잎이 크며 열매에 털..
2022.09.25 -
9월 마을 골목길 - 백일홍, 능소화, 은행나무, 맨드라미, 배, 감
고향 시골 마을 골목길과 담장 너머로 보이는 꽃과 과일 익어가는 모습 담아 봤습니다. 1. 100일 동안 꽃을 피우는 백일홍 2. 마지막 남은 몇 송이의 능소화 3. 건드리면 터지는 열매를 매달고 있는 봉숭아 4. 노란색 열매가 주렁주렁 은행나무 5. 붉은 색이 정렬적인 맨드라미 6. 노란색으로 익어가는 배나무 7. 점차 붉은색으로 익어가는 감나무
2022.09.24 -
꽃보다 아름다운 열매, 좀작살나무, 좀작살나무 꽃말, 좀작살나무 효능
좀작살나무(beauty berry)는? 작살나무는 줄기가 뻗은 모양이 물고기 잡는데 사용하는 작살을 닮아서 붙여진 이름이며, 좀작살나무는 작살나무에 비해 작고, 잎 아래쪽에 톱니가 없으며, 공해가 없는 가정의 정원, 공원이나 학습장 등의 건조하면서 물이 잘 빠지는 곳에서 잘 자라고, 지나치게 그늘 진 곳에는 심지 않습니다. 꽃은 8월에 잎겨드랑이 윗부분에서 10-20개가 모여 연한 자주색으로 피고, 다른 이름으로 자주, 좀작살, 두홍화, 방해목, 백모시, 아목초, 아작판, 자형, 조강자, 지혈초 등이 있으며, 좀작살나무 꽃말은 총명입니다. 꽃보다 아름다운 열매는 처음에 녹색이었다가 비취빛 띠는 자주색으로 익습니다. 관상용으로 많이 심고, 열매는 효소나 술을 담가 먹을 수 있으며, 약용으로 쓸 때는 자주(..
2022.09.23 -
모발건강에 좋은 풀, 한련초, 한련초 꽃말, 한련초 효능
한련초(False daisy)는? 줄기나 잎을 꺾으면 흰 즙이 흘러나와서 30초쯤 지나면 까맣게 바뀌며, 전국의 논둑이나 길가에 잘 자라는 한해살이풀입니다. 전초를 여러 증상에 약재로 사용하는데 약성이 약하여 3개월 이상 복용 하여야 효과가 나타난다고 합니다. 꽃은 7월∼9월에 줄기 끝과 가지 끝에 한 송이씩 달려서 흰색으로 피고, 다른 이름으로 연자초, 수한련, 하년초, 하련초, 할년초, 묵연초, 묵한련, 묵두초 등이 있으며, 꽃말은 애국심 승리입니다. 어린순(줄기와 잎)은 데쳐서 초고추장에 찍어 먹거나 무쳐 먹고, 전초를 생으로 혹은 말려서 물을 끓여 먹고, 즙을 짜서, 효소로 만들어, 가루로 만들어 먹을 수 있으며, 모발건강(머리카락을 검게, 잘 자라도록, 새로운 털이 자라는 것을 도와줌), 여성 ..
2022.09.22 -
차로 달여 먹는 풀, 차풀, 차풀 꽃말, 차풀 효능
차풀(senna)은? 전초를 차로 달여 먹는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가지를 꺾어서 흔들어보면 은은한 수박향이 아주 매력적이고, 밤에 마주보는 잎이 포개어 잠을 자는 것처럼 보이는 한해살이풀입니다. 꽃은 7월~9월에 콩 꽃 모양의 노란색으로 잔 꽃이 잎겨드랑이에 1~2개씩 달려 피며, 다른 이름으로 며느리감나무, 며느리감나물, 눈차풀 등이 있고, 차풀의 꽃말은 연인입니다. 잎이 달린 줄기는 말리고 씨는 볶아서 차를 우려내면 녹차처럼 옅은 풀빛이 나고 맛은 달고 쓴 맛이 나며, 간을 보호, 눈을 밝게, 항암효과, 위를 보호, 야맹증 치료. 이뇨작용, 편두통, 황달, 콩팥 염증 치료 등의 효능이 있습니다. 해가 진 후에 잎이 포개진 모양 차풀과 자귀풀의 비교 자귀나무, 아카시아, 황기, 고삼, 자귀풀, 차..
2022.09.21 -
새콩, 새콩꽃, 새콩 꽃말
새콩(hog peanut)은? 원산지 우리나라이고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 가장자리나 들에서 자라는 덩굴성 한해살이풀로, 줄기는 다른 물체를 감고 올라가며 자라고 가지가 많으며 전체에 밑으로 향하여 퍼진 털이 있으며, 가운데 작은 잎이 가장 크고 난형(마름모꼴)입니다. 다른 이름으로 양형두, 이형두 등이 있으며, 꽃은 8월~9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난 꽃대에 6개쯤 자주색으로 나비 모양(새가 앉아있는 모습?)으로 피고, 새콩 꽃말은 반드시 오고야 말 행복입니다. 열매를 식용으로 사용하고, 사지통증을 완화하는 효능이 있으나 그 효과는 미약합니다. * 다른 콩과는 꽃 모양이 많이 다릅니다. 삶은 늘 고통을 수반합니다. 그 고통을 누군가(가족이나 친구 등)와 함께 하면 가벼워집니다.
2022.09.20 -
쑥부쟁이, 쑥부쟁이꽃, 쑥부쟁이 꽃말
쑥부쟁이(Aster yomena)는? 쑥 캐는 불쟁이(대장장이) 딸의 죽은 혼이 꽃으로 피어났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우리나라 특산식물로 고려쑥부쟁이라고도 하며, 늦은 여름부터 가을까지 볼 수 있는 수수하고 아주 정겨운 야생화입니다. 꽃은 7월~10월에 연한 보라색으로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여러 송이가 달리며, 다른 이름으로 쑥부장이, 권영초 등이 있고, 쑥부쟁이 꽃말은 그리움, 기다림입니다. 비타민 C가 풍부하며 잎과 줄기는 국으로, 데쳐서 나물로, 밥을 해서 먹기도 하며, 해독 작용, 해열제와 이뇨제, 소화, 혈압 강하, 기침과 천식, 비만 예방, 어깨 결림, 복통에 효능이 있습니다.
2022.09.19 -
산딸나무, 산딸나무 꽃말, 익어가는 산딸나무 열매, 산딸나무 효능
산딸나무(Korean Dogwood, Japanese Dogwood)는? 원산지는 한국과 일본이며, 산기슭이나 산골짜기의 응달에서 자라는 식물이지만, 반그늘 또는 양지바른 곳에서도 잘 자라며, 봄에 피는 꽃과 가을에 붉게 익는 열매 그리고 수피도 고와 조경수로도 가치가 매우 높습니다. 다른 이름으로 들매나무, 미영꽃나무, 사조화 등이 있으며, 꽃은 4월~6월에 청순하고 깔끔하다는 느낌을 주는 꽃이 피는데, 네 장의 꽃잎이 서로 마주 보고 있는 모습이 십자가를 연상케 하며, 한 나무에 수백 개씩 층층으로 피고, 산딸나무 꽃말은 견고입니다. 5월의 꽃 잎은 차로 끓여 마시고, 열매가 익으면 생으로 먹거나 즙을 내어, 술에 담가서, 효소를 만들어 먹을 수 있으며, 설사나 소화불량, 피로회복, 골절상, 지혈작용..
2022.09.18 -
동부콩, 동부콩꽃, 동부콩 꽃말, 동부콩 효능
동부콩(cowpea)은? 인도와 중동이 원산지인 한해살이 덩굴식물로 시골 농가의 울타리나 밭, 논두렁에서 주로 키워왔으며, 콩 중에서 꼬투리가 제일 긴 종류이고 꽃도 콩 종류 중 아주 크고 예쁘게 핍니다. 다른 이름으로 양대, 강두 등이 있으며, 꽃은 8월~9월에 흰색, 자주색, 엷은 황색으로 마치 나비가 앉아 있는 모양의 꽃이 피고, 동부콩 꽃말은 반드시 오고야 말 행복입니다. 덜 익은 열매는 밥에 넣어 먹고, 완전히 익은 열매는 송편, 과자 또는 떡고물을 만드는데 사용하고, 신장 보호, 독소배출, 다이어트, 집중력향상, 당뇨병, 구토, 설사 예방, 부기제거, 신장 보호, 혈액순환, 위장을 튼튼하게 해주는 효능이 있습니다. 시기는 칼과 같아 몸을 해하고 욕심은 불과 같아 욕망을 태우니 욕망이 지나치면 ..
2022.09.17 -
며느리밑씻개, 며느리밑씻개꽃, 며느리밑씻개 꽃말, 며느리밑씻개 효능
며느리밑씻개(Prickled-vine smartweed)는? 전국의 산야지, 길가 울타리, 구릉지에서 자라는 한해살이 덩굴성 식물로, 화장지가 귀한 옛날에 시어머니가 며느리를 미워하여 부드러운 풀잎 대신 가시가 나 있는 이 풀로 뒤를 닦도록 했다하여 또는 부인병 치료 효능이 탁월하여 시어머니가 며느리의 부인병을 치료해 주기 위해서 사용한 풀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다른 이름으로 며누리밑씻개, 가시덩굴여뀌, 가시모밀, 사광이아재비 등이 있으며, 꽃은 7월~9월에 흰색에 연한 붉은색으로 피고, 며느리밑씻개 꽃말은 시샘, 질투입니다. 어린잎은 생으로 먹거나 즙을 내어 또는 샐러드나 살짝 데쳐 먹을 수 있으며, 젊은 부인들이 걸리기 쉬운 냉대하증과 자궁탈수, 음부가려움증, 옴. 버짐. 습진 등 피부질환과 ..
2022.09.16 -
옥비녀처럼 생긴 꽃봉오리, 옥잠화(玉簪花), 옥잠화꽃, 옥잠화 꽃말
옥잠화(Fragrant Plantain Lily)는? 꽃봉오리가 지상에 온 선녀가 떨어뜨려놓고 간 옥비녀처럼 생겨서 붙여진 이름이며, 중국이 원산지인 여러해살이풀로, 순백의 깨끗한 꽃과 심장형의 진초록 잎 색깔이 잘 어울리는 꽃입니다. 꽃은 8월~9월에 흰색 꽃이 꽃줄기 끝에서 저녁에 활짝 피어 아침에 지고 향기도 매혹적이며, 다른 이름으로 백학 선, 백옥잠, 둥근옥잠화, 백학석, 비녀옥잠화, 옥비녀꽃, 옥포화, 옥춘봉, 토옥잠 등이 있고, 꽃말은 침착, 조용한 사랑입니다. 어린잎은 데쳐서 쌈이나 나물로 먹고, 꽃이 매력적이고 심장형의 넓은 잎이 시원스럽게 보여 화단이나 공원 등에 관상용으로 재배합니다.
2022.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