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772)
-
익모초, 익모초꽃, 익모초 꽃말, 익모초 효능
익모초(益母草, siberian-mother-wort)는? 익모(益母)란 어머니에게 유익하다는 의미로 각종 여성 질병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전해져 오는 두해살이풀이며,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산지나 들에서 자라며 키는 1~2m정도입니다. 꽃은 7월∼8월에 홍자색 또는 분홍색으로 줄기 위쪽의 잎겨드랑이에서 몇 송이씩 층을 이루며 피고, 다른 이름으로 고저초, 익명, 임모초, 개방아 등이 있으며, 꽃말은 모정, 이로움, 유익, 고생 끝에 즐거움이 온다입니다. 먹는 방법으로는 생즙을 짜서 먹거나 익모초를 고아 환을 지어 먹기, 가루로 만들어 먹기, 5월 단오 전후에 채취해서 그늘에 말려 끓여 먹기. 술에 담가 먹기 등이 있으며, 자궁 출혈, 생리통 완화, 시력 개선(충혈, 각막 보호, 눈을 맑게), 생리 조절 작..
2022.08.19 -
아로니아 보관, 아로니아 먹는 방법
요즘 많은 사람들이 건강에 관심을 갖고 운동을 하거나, 좋은 먹거리, 건강식품을 찾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는데, 그 중 하나로 아로니아가 있습니다. 각종 매체를 통한 광고도 눈에 많이 띄는데, 아로니아는 어떻게 먹는 것이 가장 좋을까요? 가뭄에도 잘 자라 준 열매 수확한 열매 보관 방법은? 습기를 제거하고 꼭지 째 보관(밀폐 용기에 넣어)하였다가 필요할 때 조금씩 꺼내서 흐르는 물에 씻은 다음 꼭지를 제거하고 사용합니다. 내장 보관 하면 1개월은 신선도를 유지합니다. 냉동 보관하면 6개월까지 신선도를 유지합니다. 먹는 방법은? 1. 생과일로 먹기 크기가 작고, 단단한 몸집과 약간 떫은맛을 갖고 있습니다. 흐르는 물에 잘 씻어서 꼭지를 제거한 다음에 아침과 저녁 식사 후 1회 약 20개씩 드시는 것이 가장..
2022.08.18 -
방울토마토, 방울토마토꽃, 방울토마토 꽃말, 방울토마토 효능
방울토마토(mini tomato, cherry tomato)는? 잎이나 열매 등이 거의 토마토와 비슷하나 열매가 보통 2~3cm로 작아 조그마한 방울과 같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원산지는 아메리카인 한해살이풀로 토마토보다 당도가 높으며, 먹기에 간편하여 간식이나 후식용으로 즐겨 먹습니다. 꽃은 5월~8월에 노란색으로 피고, 다른 이름으로 미니토마토, 체리토마토 등이 있으며. 꽃말은 사랑의 결실입니다. 열매는 7월~9월에 여러 가지 모양의 붉은색, 노란색 등으로 익으며, 라이코펜, 각종 비타민과 철분, 칼륨 등이 풍부하게 들어 있고, 생으로 먹기, 주스를 만들어서, 샐러드(다른 채소와 함께)로, 케첩이나 소스로, 육류나 생선 요리에 곁들여 먹기 등 다양한 방법으로 먹을 수 있습니다. 살짝 익혀서 먹으면 ..
2022.08.17 -
강아지풀, 개꼬리풀, 강아지풀꽃, 강아지풀 꽃말, 강아지풀 효능
강아지풀(Green foxtail, Green bristlegrass)은? 줄기 끝에 피는 꽃에 털이 많이 달리는데 강아지 꼬리처럼 부드러운 느낌이나 모양, 살랑대는 바람에 흔들리는 모습이 강아지가 꼬리를 흔드는 것과 비슷하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며, 전국의 들이나 밭, 길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한해살이풀로, Green foxtail(푸른 여우꼬리) 또는 Green bristlegrass(푸른 털 풀)의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꽃은 7월~8월에 2㎝~5㎝ 정도의 연한 초록색으로 긴 꽃대 둘레에 여러 개의 꽃이 이삭 모양으로 모여 피고, 다른 이름으로 개꼬리풀, 모구초, 자주강아지풀, 제주개피, 구미초, 낭미초 등이 있으며, 꽃말은 동심, 노여움입니다. 열매는 조를 닮은 씨앗이 연한 갈색으로 익어가며 고개..
2022.08.16 -
잘사는 방법 /여유롭게 사는 방법 , 비비추, 비비추 꽃말
잘사는 방법 /여유롭게 사는 방법 1. 벌어지지 않은 상황에 대해 겁내지 마라. 2. 주는 것 자체를 즐겨라. 3. 미리 준비해두고 조금 더 일찍 시작하는 습관을 가져라. 4. 목적지를 정하지 않고 걸어본다. 5. 한걸음 물러서서, 세상을 크고 넓게 본다. 6. 너그러운 마음가짐을 갖는다. 7. 순간순간을 즐겨라. 8. 자기가 자기 삶의 주인공이 되라. 9. 남과 나를 비교하지 마라. 잎에서 거품이 나오지 않을 때까지 손으로 비벼서 먹는다고 해서 비비추(Hosta)라 하며,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꽃잎의 방향을 바꾸는 식물입니다. 다른 이름으로 바위비비추, 장병백합, 장병옥잠, 이밥취, 지부나물 등이 있으며, 꽃은 7월~8월에 연한 자주색으로 피고, 곧게 선 꽃줄기 끝에 대롱 모양의 꽃이 한쪽으로 치우쳐 ..
2022.08.13 -
부처님께 바친 꽃, 부처꽃, 부처꽃 꽃말
부처꽃(Twoedged Loosestrife)은? 백중날(음력 7월 15일) 절에 불공을 드리러 갈 때 부처님께 이 꽃을 바쳤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고,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야의 습기가 많은 곳에서 잘 자랍니다. 꽃은 7월~8월에 붉은색이나 흰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에 작은 꽃들이 조롱조롱 달려서 층층이 피어난 모습이 긴 꽃다발 모양이며, 다른 이름으로 두렁꽃, 천굴채, 대아초 등이 있으며, 꽃말은 비연, 슬픈 사랑입니다. 전초를 그늘에 말려 사용하면, 살균작용, 항암 효과, 방광염, 이뇨, 피부궤양, 자궁출혈 등에 효능이 있습니다.
2022.08.12 -
맥문동, 맥문동꽃, 맥문동 꽃말
맥문동(snake’s-beard)은? 뿌리가 보리와 비슷하고 잎이 겨울에도 시들지 않는다고 하여 맥문동(麥門冬)이라 하며, 중부이남 산지의 나무 그늘에서 잘 자라는 상록 여러해살이풀입니다. 꽃은 6월~8월에 연한 자주색이나 연한 분홍색으로 마디마다 작은 꽃이 3~5개씩 모여 달리며, 다른 이름으로 알꽃맥문동, 넓은잎맥문동 등이 있고, 꽃말은 겸손, 인내입니다. 가을부터 봄에 덩이뿌리만 모아서 차로, 술에 담가서, 물을 끓여서 먹고, 폐 관련 질환, 위를 보호, 독을 없애 주는 효과, 가래, 기침, 피부가 건조한 사람, 변비, 탈모 등에 효능이 있습니다.
2022.08.11 -
호흡기 질병의 약, 도라지, 도라지꽃, 도라지 꽃말
도라지(balloonflower)는? 우리 민족이 즐겨 먹었던 산나물이고 호흡기 질병의 약으로 이용되었으며, 도라지라는 처녀가 상사병을 앓다가 죽었는데, 사람들은 무덤가에 피어난 이 꽃을 처녀의 이름을 따서 도라지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약도 되고 나물도 되는 도라지는 독성이 없으며 향이 좋고 영양도 좋아 반찬으로 많이 먹습니다. 꽃은 7월∼8월에 끝이 펴진 종 모양으로 위나 옆을 향하여 흰색 또는 보라색으로 피고, 다른 이름으로 길경, 약도라지 길경, 돌갓, 산도라지, 고길경, 도랏, 백약 등이 있으며, 꽃말은 영원한 사랑입니다. 식용, 약용, 관상용으로 재배하며, 연한 잎과 줄기는 데쳐서 나물로, 튀겨서 먹고, 꽃잎은 생으로 무쳐서, 화전처럼 튀겨서, 차로 마시며, 뿌리는 생도라지를 고추장에 찍어 먹거..
2022.08.10 -
시골길을 걷다 - 상사화와 벼 논, 고추, 오이, 산초나무, 자리공
한적한 시골길을 걸으면서 마주친 상사화와 벼 논, 고추, 오이, 산초나무, 자리공입니다. 상사화와 벼 논 고추 오이 산초나무 자리공
2022.08.09 -
대롱 모양의 꽃, 비비추, 비비추 꽃, 비비추 꽃말
비비추(Hosta)는? 잎에서 거품이 나오지 않을 때까지 손으로 비벼서 먹는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며,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꽃잎의 방향을 바꾸는 식물입니다. 무늬비비추 꽃은 7~8월에 연한 자주색으로 피고, 곧게 선 꽃줄기 끝에 대롱 모양의 꽃이 한쪽으로 치우쳐 달립니다. 다른 이름으로 바위비비추, 장병백합, 장병옥잠, 이밥취, 지부나물 등이 있으며, 꽃말은 신비한 사랑, 좋은 소식 입니다. 봄철에 어린잎을 나물이나 국, 장아찌 등으로 먹을 수 있으며, 피부궤양, 혈액순환, 위통, 치통, 중이염 치료, 허약 체질 개선, 자궁 출혈 등에 효능이 있습니다. 무늬비비추 무늬비비추 무늬비비추
2022.08.08 -
가포순환길, 8월의 꽃 – 배초향, 맥문동, 사위질빵, 낭아초, 팽나무 열매, 꼬리조팝나무
창원시 마산합포구 가포순환길 산책하면서 만난 배초향, 맥문동, 사위질빵, 낭아초, 팽나무 열매, 꼬리조팝나무입니다. 배초향 - 방아잎 맥문동 – 귀여움 뿜뿜 사위질빵 – 장모님의 사위 사랑 낭아초 – 이리의 어금니 팽나무 열매 – 작은 열매가 익어가고 꼬리조팝나무 – 집에 오는 길가 화단
2022.08.07 -
(창원수목원) 8월의 꽃 – 백일홍, 연꽃, 원추리, 물싸리, 맥문동, 낙지다리, 마삭줄
창원수목원에 피어 있는 8월의 꽃 백일홍, 연꽃, 원추리, 물싸리, 맥문동, 낙지다리, 마삭줄입니다. 입구의 백일홍과 베고니아 화분 백일홍 연꽃 (백련) 원추리 물싸리 맥문동 낙지다리 마삭줄
2022.08.05 -
잎이 삼(대마)과 비슷한 식물, 겹꽃삼잎국화, 삼잎국화 꽃말
삼잎국화(golden glow)는? 잎이 삼(마:麻-대마)의 잎과 비슷하게 생겨서 삼잎국화라 하고,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인 귀화식물로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인가 주변에서 자랍니다. 잎이 세 갈래(다섯 갈래로 보이기도 함)로 갈라져서 세잎국화라고도 하며, 홑꽃이면 삼잎국화, 겹꽃이면 겹꽃삼잎국화라 합니다. 꽃은 7∼9월에 줄기와 가지 끝에 꽃자루가 없는 노란색의 작은 꽃들이 많이 모여 피어 머리 모양을 이루며 중앙에 녹색을 띤 황색의 관상화가 있고, 다른 이름으로는 양노랭이, 양국화, 키다리노랑꽃, 삼엽국화, 세잎국화 등이 있으며, 꽃말은 영원한 행복입니다. 봄에 부드러운 잎은 쌈이나 샐러드로, 살짝 데쳐내어 무침이나 나물밥으로, 전이나 장아찌로 먹을 수 있는 맛 좋은 산채며, 나물과 뿌리에는 면역력 강화, ..
2022.08.04 -
기린초, 비채, 기린초 꽃말
기린초(orange stonecrop)는? 줄기가 기린의 목처럼 곧게 위로 뻗어 또는 약초로 이용되는 식물 중 그 기능이 가장 우수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산위 바위틈이나 습기가 적은 곳에서 자생하는 여러해살이풀입니다. 꽃은 6월~7월에 돌나물과 비슷한 별모양의 노란색으로 피며, 다른 이름으로 혈산초, 꿩의비름, 비채, 경천삼칠, 넓은잎기린초, 각시기린초 등이 있으며, 꽃말은 소녀의 사랑, 기다림입니다. 4월 초에 어린잎을 채취하여 나물로, 여름에는 잎을 따서 건조시켜 차로, 뿌리를 포함한 전초를 약재로 사용 하는데 혈액순환, 정신을 안정시키는 작용, 위장질환, 허약증, 관절염 등의 각종 염증, 종양, 고혈압, 혈변이나 월경이 멈추지 않는 증세, 가슴이 몹시 두근거리는 증세, 이유 없이 가슴이 울렁..
2022.08.03 -
부처님의 환한 얼굴처럼 보이는 꽃, 금불초, 금불초 꽃말
금불초(Chinese elecampane)는? 노란(금색) 꽃이 마치 부처님의 환한 얼굴처럼 보이는 풀이라고 해서 금불초(金佛草)라 합니다. 전국의 산과 들에 비교적 흔하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다른 국화과의 식물들과 함께 들국화라 불렀습니다. 6~8월에 화사하면서 작은 꽃송이가 귀여운 노란 꽃이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1개씩 달리며, 다른 이름으로 선복, 선복화, 옷풀, 하국, 들국화, 금전화, 금복화 등이 있으며, 꽃말은 상큼함입니다. 어린순은 나물이나 국을 끓여 먹기도 하며, 꽃은 말려서 약(선복화:旋覆花)이나 차로, 뿌리는 금불초근이라고 하며 천식, 가래증상, 소화불량, 딸꾹질 등에 이용하고 짓찧어서 외상이나 타박상에 붙이거나 달여서 내복하며, 지상 부는 진해·거담작용, 구토, 기침 등에 쓰입니다.
2022.08.02 -
꽃댕강나무, 아벨리아, 꽃댕강나무 꽃말
꽃댕강나무(Glossy Abelia)는? 댕강나무를 원예용으로 개량한 품종으로 중국이 원산지이고, 꽃이 어여쁘다고 만지면 댕강 잘 떨어지고, 새로 돋은 가지를 만지면 댕강 잘 부러져서 꽃댕강나무라 합니다. 꽃은 6월~10월에 작은 종이나 나팔 모양의 꽃에서 그윽하게 퍼지는 향기에 취하게 하며, 너무 귀엽고 사랑스러우며 작고 앙증맞으며 우아한 자태로 흰색과 분홍색 꽃이 핍니다. 다른 이름으로 꽃댕강이, 아벨리아, 왜댕강이 등이 있으며, 꽃말은 평안함, 소녀의 꿈입니다. 남부 지방에서는 겨울에도 상록성이며, 향을 즐기고 우아한 꽃을 보기 위해서 화단에 조경수로 심거나 생 울타리를 만들며, 높이 1~2m까지 자랍니다.
2022.08.01 -
풀솜꽃, 아게라툼, 불로화, 풀솜꽃 꽃말
풀솜꽃(Ageratum)은? 원산지가 북아메리카(멕시코)인 한해살이풀로, 꽃이 헝클어진 실타래를 풀어 놓은 듯한 느낌을 주며 오래도록 피어 늙을 줄 모른다 하여 불로화(不老花)라고도 합니다. * 아게라툼은 불로(不老)라는 뜻 다른 이름으로 멕시코 엉겅퀴(꽃모양이 엉겅퀴와 비슷하고 멕시코산이기 때문에), 불로화 등이 있으며, 꽃은 늦봄에서 늦가을까지 청색, 분홍색, 보라색 등 매우 다양한 색으로 피고, 풀솜꽃 꽃말은 신뢰입니다.
2022.07.31 -
상리 연꽃공원, 수련, 백련, 홍련
경남 고성군 상리면 척번정리 125-4에 위치해 있으며, 사용할 수 없게 된 마을의 소류지 약 2만㎡의 부지에 수련, 홍련, 백련, 어리연 등이 잘 가꾸어져 있어 단아하면서도 기품이 넘치는 연꽃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연담루(蓮潭樓) - 연꽃 단지를 한눈에 조망하고 징검다리 – 정겨운 징검다리를 건너면서 연꽃 감상 연꽃에 대한 정보도 얻고, 돌탑, 쉬어갈 수 있는 정자도 있음 지락정(知樂亭) - 연못 가운데 있어 연꽃 감상하기 좋은 장소
2022.07.30 -
물에 사는 식물, 7월의 꽃 – 연꽃(백련, 홍련), 노랑어리연, 물양귀비, 물칸나, 부처꽃
경상남도 수목원과 인근의 연꽃 농장에서 만난 연꽃(백련, 홍련), 노랑어리연, 물양귀비, 물칸나, 부처꽃입니다. 연꽃(백련, 홍련) 노랑어리연 물양귀비 물칸나 부처꽃
2022.07.29 -
나무에 핀, 7월의 꽃 – 무궁화, 꽃댕강나무 선라이즈, 배롱나무, 수국, 대추
경상남도 수목원과 인근 농장에서 만난 7월의 꽃 무궁화, 꽃댕강나무 선라이즈, 배롱나무, 수국, 대추 자라는 모습입니다. 무궁화 꽃댕강나무 선라이즈 배롱나무 목수국과 떡갈잎수국 대추
2022.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