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여행, 풍경/여행 - 아름다운 추억 만들기(244)
-
경상남도수목원, 2월의 꽃, 풍년화, 촛대초령목, 운룡매, 두메닥나무, 렌텐로즈, 히어리
경상남도수목원에 2월에 핀 꽃입니다. 꽃 감상하시면서 즐거움 함께 나누고 가세요. 풍년화 – 이 꽃이 많이 피면 풍년이 든다네요. 촛대초령목 – 피고초령목, 함소화 등으로 부르는 꽃 운룡매 – 분재를 만들어 놓은 듯 구불구불한 가지에 핀 매화 두메닥나무 – 작은 꽃이 귀염귀염. 렌텐로즈 – 수줍은 듯 아래를 향해 핀 꽃 히어리 – 예쁜 귀걸이 모양, 아직 활짝 피지는 않은 상태.
2025.02.27 -
의림사 계곡에서 만난 꽃, 복수초, 노루귀, 변산바람꽃, 큰봄까치꽃
의림사(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북면 의림로 382)에 갔다가 마산 9경 중의 하나인 의림사 계곡 산책 중에 만난 복수초, 노루귀, 변산바람꽃, 큰봄까치꽃입니다. 복수초 – 의림사 경내, 샛노란 빛깔의 아름다움 노루귀 – 분홍색의 귀여운 모습 변산바람꽃 – 흰색의 고운 자태 현호색과 큰봄까치꽃 – 주차장 인근, 봄이 왔다고 외치는 꽃
2025.02.25 -
여항산 의림사, 창원 의림사
여항산 의림사(艅航山 義林寺)는 마산 9경 중의 하나인 의림사 계곡(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북면 의림로 382(진북면 인곡리 439))에 있습니다. 대한불교조계종 제14교구 본사인 범어사(梵魚寺)의 말사로 688년(신문왕 8)에 위웅대사(爲雄大師)가 창건하여 봉덕사(奉德寺)라 하였고, 임진왜란 당시 사명대사가 이곳에 머물며 승병을 훈련 시키자 각처에서 의병들이 숲처럼 많이 모여들었다고 해서 의림사(義林寺 : 1,500명의 승군을 훈련 시켜 동래성, 진주성 등으로 파견한 호국 도량 호국 성지의 기능을 한 사찰)로 사명을 고쳤다고 전해오고 있습니다. 대웅전 나한전 염불전 법고가 걸린 종각 삼성각 대웅전 옆 해수관음상과 포대화상 삼층석탑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72호로 지정..
2025.02.24 -
경상남도 수목원, 열대식물원, 촛대초령목, 쿠페아, 무늬털머위, 파피루스
열대식물원에 피어있는 촛대초령목, 쿠페아, 무늬털머위, 파피루스 꽃입니다. 1. 촛대초령목 – 깔끔하고 매력적인 꽃 2. 쿠페아 – 조건만 맞으면 연중 꽃을 피우고 3. 무늬털머위 - 털머위에 흰색 무늬 4. 파피루스 – 이집트에서 종이를 만드는 원료로 사용
2025.02.05 -
경상남도 수목원, 수련원, 포인세티아, 덴마크무궁화, 꽃바나나, 꽃기린, 말바비스커스
수련원에 연꽃은 피어있지 않았고, 포인세티아, 덴마크무궁화, 꽃바나나, 꽃기린, 말바비스커스 꽃입니다. 1. 포인세티아 – 정렬적인 빨간색 2. 덴마크무궁화 – 예쁜 노란색 꽃 3. 꽃바나나 – 작은 열매도 보입니다. 4. 꽃기린 – 1m 정도의 큰 키에 핀 꽃 5. 말바비스커스 – 잠자는 무궁화
2025.02.04 -
순천-곡성 여행, 아미산, 천태암
아미산은? 중국의 어메이산(峨眉山:아미산)과 산세가 비슷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전라남도 곡성군 목사동면과 순천시 주암면의 경계에 있는 산으로, 높이는 582.9m입니다. 이번 산행은 순천 주암중학교 뒤쪽에 주암천을 건너 주암면 요곡리 53-1에서 시작(아미산까지 3.5 km)하여 계관산 – 옥녀산 – 아미산 – 천태암 – 곡성군 목사동면 대곡리로 하산하는 코스로 다녀왔습니다. 계관산과 옥녀산, 소나무 숲길 계관산 250m 옥녀산 358m 소나무 숲길을 따라 정상으로 아미산 정상에서 아미산 정상 정상에서 본 보성강 ↑ ↓ 아미산 정상에서 계단, 데크를 따라 천태암으로 천태암(天台庵)을 둘러보고천태암은? 신라 문무..
2025.01.30 -
창원 여행, 주남저수지, 철새, 주남돌다리, 시클라멘, 호주매화
창원 주남저수지 주변 연밭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는 모습과 비행하고 있는 철새들을 만나고 왔습니다. 주남돌다리(다른 이름 주남새다리) 다육식물을 판매하고 있는 호수정원의 시클라멘과 꽃 구경 루비앤네크리스 ↑호주매화 ↑
2025.01.27 -
순창여행, 강천사
강천사(剛泉寺)는? 전라북도 순창군 팔덕면 청계리 996(팔덕면 강천산길 270)의 강천산에 있는 사찰로 887년(진성여왕 1) 도선국사(道詵國師)가 창건하였고, 대한 불교 조계종 제24교구 본사 선운사의 말사이며, 산세가 용이 꼬리를 치며 승천할 형상이라 하여 용천사(龍泉寺)라고도 합니다.대웅전과 강천사 오층석탑 강천사 올라가는 길 부도전부도전 옆 순창 설씨부인 관련 비 아랫용소 위쪽의 극락교(極樂橋) 일주문인 강천문 강천문을 지나 보이는 작은 돌탑 강천사 둘러보기경내로 들어가는 관문인 2층 누각 강천사 안양루(安養樓) 대웅전과 강천사 오층석탑[전라북도 유형 문화재 제92호] 심우당 범종각 범종각 옆의 탑 대웅전 앞 등산로의 작은 돌탑 강천사 사적비 설씨부인 권선문 번역문 ..
2025.01.26 -
창원여행, 창원의 집, 연자방아, 농기구 전시관, 팔각정
창원의 집(경남 창원시 의창구 사림로16번길 59 (사림동 69 번지)에 위치한 전통 한옥으로) 내부의 연자방아와 농기구전시관 소개입니다.솟을 대문에서 왼쪽으로 보이는 연자방아 농기구 전시관 내부 - 조상들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농기구 농기구 전시관 외부(좌우측과 뒷쪽의 장독대)발동기, 멍석, 달구지 ↑디딜방아 ↑뒷쪽의 장독대 ↑장독대 옆의 생활 도구들 ↑ 다목적전각 옆의 도구들 팔각정 - 농기구 전시관 뒤 낮은 언덕위에 세워진 팔각정
2025.01.21 -
창원여행, 창원의 집, 솟을 대문, 향토역사관, 다목적전각, 퇴은정
창원의 집은? 경남 창원시 의창구 사림로16번길 59 (사림동 69 번지)에 위치한 전통 한옥입니다. 창원의 집 배치도창원의 집 입구(솟을 대문) 솟을 대문 앞(정면)의 창원의 집 향토 역사관 (내부에는 사랑채, 안채, 민속교육관이 있음) 사랑채 - 손님을 맞이하는 집으로 사랑방, 서당, 주인방으로 구성 안채 - 주인 마님을 비롯한 여성들의 거주 공간, 대문으로부터 가장 안쪽의 공간에 위치, 안방, 대청마루, 건너방, 부엌으로 구성 민속교육관과 앞 마당에 민속놀이(투호, 윷놀이 등) 체험 공간 솟을 대문 오른쪽(향토역사관에서 왼쪽)의 연못, 물레방아 연못 위쪽의 다목적 전각(우람한 대형 건축물)과 널뛰기 체험장 다목적 전각 옆 대나무 숲 속에 자리잡은 정자 퇴은정
2025.01.20 -
마산 돝섬, 창원 돝섬, 돝섬 해상 유원지, 돝섬의 사계
마산만에 그림 같이 자리한 돝(돼지의 옛말)섬은 섬 전체가 해상 유원지로 사계절 꽃피는 섬으로 예쁘게 조성되어 있습니다. 무학산에서 바라 본 돝섬과 마창대교 돝섬 해상 유원지의 4계절의 모습을 소개합니다.봄 : 새싹이 돋아나는 4월 ↑↓ 여름 : 녹음이 짙어가는 8월 ↑↓ 가을 : 단풍이 곱게 물든 10월, 11월 초 ↑↓ 겨울 : 앙상한 나무가지가 보이는 12월 ↑↓
2024.12.26 -
최치원의 길, 무학산 둘레길, 서원곡에서 완월폭포까지
최치원의 길을 걸어 봅니다. 무학산 둘레길과 겹치는 구간이 많으며 오늘은 서원곡에서 완월폭포까지 구간입니다. 최치원(崔致遠) - 신라 말기의 문신, 유학자, 문장가이며, 경주 최씨의 시조. 자는 고운(孤雲), 해운(海雲)입니다. 12세에 중국 당나라에 유학하여 과거에 급제하고 약 17년간 생활하였으며, 귀국하여 문란한 정치 상황에 실망을 느껴 관직을 버리고, 경주의 남산, 합천 청량사, 지리산 쌍계사, 합포현(合浦縣, 지금의 창원)의 별서 등 전국을 떠돌다 해인사에서 여생을 마무리했다. 낙엽이 쌓여있는 길, 소나무 숲길을 걸으면서 최치원, 이황의 시도 감상 추워지는 날씨에 꽃을 피운 차나무
2024.11.26 -
곡성 여행, 조태일 시문학기념관, 시화전
전남 곡성군 죽곡면 태안로 622-38(죽곡면 원달리 799)의 태안사 입구에 조태일 시인의 유물전시 및 문학적 업적을 기리는 시문학관 입니다. 조태일(1941~1999) 시인은 전남 곡성 태안사에서 대처승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1964년『경향신문』에 시 「아침선박」이 당선되면서 등단하였습니다. 시문학기념관 – 시인의 유품과 작품, 시인을 기리는 문학작품 전시 야외의 시화전
2024.11.22 -
마산 대곡산, 가을과 만남
만날고개에서 시작하여 대곡산에 오르면서 단풍으로 물든 가을을 만나고 왔습니다. 만날고개에서 바라 본 대곡산의 가을 아름답게 물든 단풍 구경하고, 떨어진 낙엽을 밟으면서 바스락거리는 소리에 맞추어 정상으로 향합니다. 가을을 떠나보내기 아쉬운 듯 꽃을 피우고 있는 야생화구절초 ↑쑥부쟁이 ↑ 꽃향유 ↑사랑초 ↑↓ 주홍서나물 ↑ 대곡산 정상 부근의 멋진 반송
2024.11.19 -
마산가고파국화축제 국화분재
24년 마산가고파국화축제의 국화분재 소개합니다. 멋진 분재 감상할 수 있도록 해주신 분들에게 감사드립니다.
2024.11.12 -
마산가고파국화축제
마산가고파국화축제가 경남 창원시 3·15 해양누리공원, 합포수변공원 일원에서 24.10.26. ~ 11.03에 열렸습니다. 행사 기간 중에는 꽃이 활짝 피지 않은 상태였는데 축제가 끝나고 일주일 후에 방문한 축제 현장의 국화 모습 소개합니다. 은은한 국화향은 전해드리지 못해 죄송합니다.
2024.11.11 -
함안 강주마을, 해바라기 축제
경남 함안군 법수면 강주마을 일원에서 해바라기 축제가 열리고 있어 다녀왔습니다. 꽃이 거의 지고 있지만 남아있는 해바라기 보면서 기분 전환 할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입구에서 벽화가 그려진 길을 따라서 해맑게 웃고있는 해바라기 꽃이 지고 열매가 맺힌 해바라기 작고 귀여운 해바라기
2024.09.14 -
창원수목원, 교과서식물원, 산사나무, 다정큼나무, 비자나무 열매
창원수목원 교과서식물원의 열매 익어가는 모습입니다.1. 산사나무 열매 - 잘 익어가고 있으며 바닥에는 열매가 많이 떨어져 있음2. 다정큼나무 열매3. 비자나무 열매 - 아직까지는 푸른 빛
2024.09.13 -
창원수목원, 미로정원, 삼동정, 마리골드, 쿠페아, 애기원추리, 나도샤프란, 꿩의비름, 나비바늘꽃, 좀작살나무 열매
날씨도 좋고 조금은 시원해진 바람에 이끌려 창원수목원에 다녀 왔습니다. 조금 남은 여름꽃 소개합니다. 1. 미로정원 - 작은 규모의 아담한 정원 입구 출구2. 삼동정 - 창원수목원의 가장 높은 하늘정원에 있는 정자. 창원 시내가 내려다 보이는 좋은 전망3. 마리골드 - 화사하게 웃어 주는 아름다움 4. 쿠페아 - 자잘한 꽃이 계속해서 피어나는 쿠페아 5. 애기원추리 - 노란색을 뽐내는 애기원추리 6. 나도샤프란 - 흰색꽃이 예쁘네요. 7. 꿩의비름 - 피기 시작하며 나비들과 친해요. 8. 가우라 - 나비바늘꽃 9. 좀작살나무 열매 - 보라색의 작은 열매
2024.09.11 -
창원여행, 주남저수지, 연꽃, 물옥잠
주남저수지(注南貯水池)는 경상남도 창원시의 동읍과 대산면 일대의 농경지에 농업용수를 공급해 주는 자연 늪으로, 산남, 주남(용산), 동판의 3개 저수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겨울에는 철새도래지로 철새들의 낙원이고, 여름에는 곳곳에 연꽃이 피어나 관람객들의 시선을 사로잡습니다. 연꽃 사이에 피어난 물옥잠 기생초도 피어있네요.
2024.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