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760)
-
의식동원, 약식동원, 딸기, 딸기의 영양, 딸기 효능, 딸기 고르는 방법과 보관법, 딸기 부작용
딸기(strawberry)는? 원산지는 남, 북아메리카지역이며, 여러해살이 초본식물로 비타민C가 많고, 강렬한 색감과 달콤하면서 신맛, 향기가 풍부합니다. 딸기는 따사롭고 햇빛이 좋은 5월이 제철이지만 최근에는 하우스 재배로 생산되기 때문에 겨울에 더 많이 볼 수 있는 과일이며, 딸기 꽃말은 예견, 행복한 가정입니다. 딸기의 영양 1. 비타민C(레몬의 2배, 사과의 10배) 2. 안토시아닌(눈 건강, 항산화 작용) 3. 라이코펜(혈액순환과 신진대사를 촉진) 4. 메틸살리실산(진통 작용 및 소염작용) 5. 식이섬유, 칼륨, 딸기 칼로리 : 100g 27kcal 딸기의 효능 1. 면역력 강화 – 비타민C가 풍부하여 염증성 질환에 효과 면역력이 약한 어린아이나 노인에게 좋음 2. 암 예방 - 항산화 작용으..
2025.01.22 -
창원여행, 창원의 집, 연자방아, 농기구 전시관, 팔각정
창원의 집(경남 창원시 의창구 사림로16번길 59 (사림동 69 번지)에 위치한 전통 한옥으로) 내부의 연자방아와 농기구전시관 소개입니다.솟을 대문에서 왼쪽으로 보이는 연자방아 농기구 전시관 내부 - 조상들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농기구 농기구 전시관 외부(좌우측과 뒷쪽의 장독대)발동기, 멍석, 달구지 ↑디딜방아 ↑뒷쪽의 장독대 ↑장독대 옆의 생활 도구들 ↑ 다목적전각 옆의 도구들 팔각정 - 농기구 전시관 뒤 낮은 언덕위에 세워진 팔각정
2025.01.21 -
창원여행, 창원의 집, 솟을 대문, 향토역사관, 다목적전각, 퇴은정
창원의 집은? 경남 창원시 의창구 사림로16번길 59 (사림동 69 번지)에 위치한 전통 한옥입니다. 창원의 집 배치도창원의 집 입구(솟을 대문) 솟을 대문 앞(정면)의 창원의 집 향토 역사관 (내부에는 사랑채, 안채, 민속교육관이 있음) 사랑채 - 손님을 맞이하는 집으로 사랑방, 서당, 주인방으로 구성 안채 - 주인 마님을 비롯한 여성들의 거주 공간, 대문으로부터 가장 안쪽의 공간에 위치, 안방, 대청마루, 건너방, 부엌으로 구성 민속교육관과 앞 마당에 민속놀이(투호, 윷놀이 등) 체험 공간 솟을 대문 오른쪽(향토역사관에서 왼쪽)의 연못, 물레방아 연못 위쪽의 다목적 전각(우람한 대형 건축물)과 널뛰기 체험장 다목적 전각 옆 대나무 숲 속에 자리잡은 정자 퇴은정
2025.01.20 -
연필화, 사군자, 매화
내가 그린 연필화 - 매화 그림입니다. 미숙한 점이 많지만 좋게 봐주세요.
2025.01.19 -
식물의 한해살이, 단삼, 단삼꽃, 단삼 수확, 단삼 효능
중국 원산으로 인삼의 형태를 닮았으며 뿌리가 붉은색이어서 붉은 삼이라고 하여 단삼(丹蔘)이라 하며, 풍병(風病)을 치료하여 하지무력감을 없애주므로 달리는 말을 쫓아갈 수 있게 한다하여 분마초(奔馬草)라 부르기도 합니다. 꽃 감상용으로 화단에 심기도 하며, 심, 뇌혈관질환 예방과 치료, 혈액순환, 노화 예방, 건망증과 치매 예방 효과, 마음과 정신을 안정시키는 작용, 알코올 중독 증세 완화, 모발을 검게, 모발의 성장을 촉진 시켜 주는 효능을 지닌 약재입니다. 1. 새순(3월초) 2. 특이한 모양의 보라색 꽃, 꽃말은 가정의 덕. 은혜 3. 가을의 단풍과 단삼 수확
2025.01.18 -
의식동원, 약식동원, 새싹보리, 새싹보리 효능, 새싹보리 재배, 새싹보리 먹는 방법, 새싹보리 부작용
새싹보리는? 새싹보리는 보리에서 싹이 나서 약 10~20센티 자란 어린 보리싹으로, 싹이 나면서 씨앗에 있던 좋은 성분들이 새싹으로 옮겨가서 영양성분이 더욱 농축되어 있어 보리 보 다 효능이 좋다고 합니다. 새싹보리 효능 1. 내장지방을 억제하고 지방 분해를 도움 2. 비만을 개선, 성인병을 예방 3. 혈관 건강(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주는 효능) 4. 빈혈 예방(철분이 시금치의 24배) 5. 면역력 강화(감기 예방, 골다공증 예방) 6. 체내의 염증을 제거(관절염 등) - 마그네슘 함유 7. 숙취 해소, 간의 기능을 개선 8. 변비 해소 – 많은 식이섬유 함유 9. 피부 미용, 항암효과 10. 우울증 예방, 해독작용 11. 혈당 감소, 다이어트에 도움 새싹보리 재배 1. 종자를 12시간 정도 물에 담가..
2025.01.17 -
베고니아, 베고니아꽃, 베고니아 꽃말
베고니아(begonia)는? 원산지가 열대와 아열대 지방인 상록성 여러해살이풀로 세계에 약 800여 종이 있으며, 잎의 색깔과 꽃의 모양도 여러 가지입니다. 건조와 강한 햇빛에 약하고, 실내공기 정화능력이 좋아서 새집증후군에 좋은 식물로 화분에 기르거나 원예용으로 사용합니다. 꽃은 흰색, 분홍색, 빨간색 등 품종에 따라 여러 가지 색깔로 피며, 베고니아 꽃말은 부조화, 뜬소문, 짝사랑입니다. 점무늬베고니아 장미베고니아
2025.01.16 -
자귀나무, 합환목, 자귀나무 열매
자귀나무( Silk Tree )는? 밤이 되면 잎이 닫히는 특성이 있어, 잠을 자는 일은 귀신같이 맞춘다고 하여 자귀나무, 밤에 잎이 닫히는 모습이 금실 좋은 다정한 부부의 모습과 같다고 하여 합환목(수), 합혼목(수), 부부목, 사랑목, 야합수, 유정수 등으로 불리며, 자귀나무를 집안에 심으면 가정이 화복해진다고 하며, 꽃의 모습은 붉은 실타래를 펼쳐놓은 모양, 공작의 날개 짓 같기도 하여, 멀리서 보면 더욱 아름다워 보입니다. 열매는 콩깍지를 닮은 모양으로, 꽃이 지고나면 주렁주렁 열려 9월~10월에 땅으로 쳐지며 초록색에서 갈색으로 익는데, 안에는 5개~6개의 종자가 들어있습니다.
2025.01.15 -
의식동원, 약식동원, 콩, 콩의 영양, 콩의 효능, 콩 먹는 방법, 콩의 부작용
콩(bean, 대두(大豆)은? 아시아 동부가 원산지인 대두는 예로부터 밭에서 나는 쇠고기(곡물 가운데 가장 단백질의 함유량이 많음)라 하여 두부나 된장, 콩나물 등으로 단백질 공급원이 되어 왔던 한해살이 식물입니다. 콩은 종류도 다양하고 씨의 색깔도 흰색, 녹색, 노란색, 분홍색, 붉은색, 검은색 등이 있으며. 꽃은 7월~8월에 흰색 또는 자주색 꽃이 피고, 콩 꽃말은 반드시 오고야 말 행복입니다. 콩의 종류 메주콩, 서리태, 동부콩, 완두콩, 쥐눈이콩, 렌틸콩, 병아리콩, 호랑이콩, 밤콩 등 콩의 영양 - 대두의 영양성분은 단백질이 40% 탄수화물이 25% 지방이 20% 정도를 차지하며 비타민 무기질 식이섬유 인지질 사포닌 이소플라본 피트산 등의 생리활성 물질들이 있습니다. 1. 단백질 - 농작..
2025.01.14 -
식물의 한해살이, 벼, 벼꽃, 벼 수확
우리나라에서는 약 4,000년 전부터 재배해오고 있는 식량작물로 나락, 나록(羅祿) 등으로 부르고, 수확한 벼의 겉껍질(왕겨)을 벗겨낸 것을 현미, 속껍질을 벗겨낸 것을 백미라 하여 우리의 주식으로 이용되어 온 고마운 작물입니다. 1. 늦봄의 모판과 초여름의 모내기(5월말~6월초) 2. 더위를 이겨내며 잘 자라는 벼와 벼꽃, 꽃말은 풍요 3. 익어가며 고개를 숙이는 벼와 수확
2025.01.13 -
식물의 한해살이, 먼나무, 먼나무꽃, 먼나무 열매
먼나무(Round-leaf holly)는? 원산지는 한국으로 제주도와 남부 해안에서 자생하는 늘 푸른 활엽 큰키나무로, 잎자루가 길어 잎이 멀리 붙어 있어서 생긴 이름(?)이라고 하며, “저 나무 뭔(무슨) 나무요?” 하고 물어보면 대답은 “먼나무”이다. 그래서 먼나무는 영원히 이름을 모르는 나무라고 하며, 다른 이름으로 구필응, 좀감탕나무, 가을감탕 등이 있습니다. 꽃은 5월~6월에 연자주색으로 피고, 먼나무 꽃말은 보호, 기쁜 소식입니다. 콩알 굵기의 빨간 열매를 수천 개씩 달고 있는 아름다운 나무이며, 껍질과 뿌리껍질은 진통, 해열, 해독, 이뇨 작용(소변의 배출을 촉진), 항산화 작용, 항균 작용과 지혈작용, 위장을 튼튼하게 하고 소화불량을 해소, 피부 미백효과가 뛰어나 피부미용에 효능이 있..
2025.01.12 -
치자, 치자나무, 치자나무 열매
치자( gardenia, 梔子)는? 우리나라, 일본, 대만, 중국에 분포하며, 예로부터 옷감의 염색이나 음식에 예쁜 색을 내주는 용도로 사용하였으며, 치자라는 이름은 열매 모양이 손잡이 있는 술잔과 비슷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열매용 치자는 홑꽃으로 수술은 6~7개이고 꽃치자는 겹꽃으로 피는데, 꽃에 있는 다량의 향지(꽃 기름)가 피로회복, 해열, 식욕 증진에 효능이 있습니다. 열매의 바깥 면은 황갈색~적갈색이고, 보통 5~7개의 날개 모양인 세로 능선이 뚜렷하며, 열매껍질은 얇고 부스러지기 쉬우며, 안에 들어있는 씨는 납작하고 난원형이며 여러 개가 모여 덩어리를 이루고 있습니다. 치자 열매는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목의 통증 치료에도 효능이 있습니다.
2025.01.11 -
(의식동원, 약식동원) 보리, 보리쌀, 보리쌀 영양, 보리쌀 효능, 보리 먹는 방법, 보리 부작용
보리(barley)는? 기원전 7,000년 전에부터 야생종이 재배되기 시작하여 식량 작물로는 가장 오래되었으며, 한자로는 대맥(大麥)이라 합니다. 보릿고개(가을에 수확한 곡식이 봄이 되면 다 떨어져 배고픔을 견뎌내고 초근목피(풀뿌리나 나무껍질)로 연명하며 살았던 어려운 시기로 보리가 익어야 허기를 채울 수 있었음)를 넘기게 해준 중요한 식량이었으나 지금은 생산량이 감소하여 쌀보다 드문 곡식이 되었고 건강을 위하여 특별히 먹는 밥이 되었습니다. 보리의 종류 1. 겉보리 - 껍질이 종실에 달라붙어 분리되지 않는 것, 주로 동물의 사료나 맥주를 만드는 데 사용 2. 쌀보리 - 껍질이 종실에서 쉽게 분리되는 것, 보통 쌀에 섞어서 밥을 하는 보리, 도정을 하면 보리쌀. 녹말 성분의 하나인 아밀로오스 함량에 따라..
2025.01.10 -
식물의 한해살이, 초석잠, 골뱅이형초석잠, 누에형초석잠
초석잠(Hairless woundwort , 草石蠶)은? 산과 들의 습지에서 잘 자라는 초석잠(草-풀(초), 石-돌(석), 蠶-누에(잠))은 땅속의 덩이줄기가 단단하고 누에나 번데기를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택란 또는 쉽싸리(누에형 초석잠)와 (골뱅이형)초석잠이 있고, 치매 예방, 부종이나 뇌졸증 예방, 혈액 순환, 인후염, 기관지염 등에 효과가 있습니다. 1. 봄에 덩이줄기에서 나온 새싹 2. 초석잠과 택란의 독특한 모양의 꽃, 꽃말은 설원의 여인 (골뱅이형)초석잠 ↑, 택란(누에형 초석잠) ↓ 3. 골뱅이 모양(위)과 누에 모양(아래)의 수확한 덩이줄기
2025.01.10 -
해당화, 해당화 열매
해당화(海棠花, Rugosa Rose)는? 바닷가 모래땅과 산기슭의 물 빠짐이 좋고 햇볕을 많이 받는 곳에서 자라며, 요즘에는 자생지가 파괴되어 점차 보기 힘들어지고 있습니다. 열매는 구형이며 8월에 황적색으로 익는데, 술이나 효소 또는 말려서 한약재로도 쓰이는데, 피로회복. 식욕증진, 강장질환, 각종 관절질환과 뼈에 효능이 있습니다.
2025.01.09 -
식물의 한해살이, 은행나무, 은행나무꽃, 은행나무 열매, 은행나무 단풍
은행나무(Ginkgo, Maidenhair tree)는? 중국이 원산지이고 우리나라에서는 전국에 식재 가능하며, 은행(銀杏)은 종자는 은(銀)처럼 희고 열매는 살구 같이 생겨서 붙여진 이름이며, 공손수(公孫樹 : 할아버지가 심어서 손자 때 열매를 따 먹을 수 있어서), 압각수(鴨脚樹 : 잎이 오리 발가락을 닮았기 때문에), 행단(杏壇 : 공자가 은행나무 아래서 글을 읽고 제자를 가르쳤다는 의미) 등으로 부릅니다. 은행나무는 암나무와 수나무가 있는데 암꽃은 꽃자루 끝에 각각 2개씩 녹색의 밑씨가 달리고, 수꽃은 동물 꼬리처럼 아래로 늘어져 연한 황색으로 달리며, 은행나무 꽃말은 장수입니다. 열매를 은행이라 하고 10월쯤에 황색으로 익는데, 겉껍질은 악취가 나고 피부에 닿으면 염증을 일으키며, 씨는 겉이..
2025.01.08 -
식물의 한해살이, 참깨, 참깨꽃, 참깨 열매
참깨(sesame) 씨(미백색(품종에 따라 검은색, 황갈색 등))는 고소한 향과 맛이 좋아 비빔밥, 나물 무침, 깨강정, 깨소금, 깨죽 등에 이용 되었으며, 동맥경화 예방, 간 기능 향상, 귀와 눈을 밝게, 노폐물 배설, 피로 회복, 만성위장염, 신장염, 고혈압, 변비, 빈혈, 기관지염, 위궤양, 감기 등에 대한 효능이 있습니다. 1. 봄의 새싹과 여름의 성장 2. 종모양의 연분홍색 꽃 3. 4조각의 열매와 수확 * 기름을 짤 때는 흰 참깨, 먹을 때는 검은 참깨가 좋다고 합니다.
2025.01.08 -
장미 열매
가시 속에 감추어 두었던여름날의 화려한 꽃은어디로 보내고 한잎 두잎낙엽도 떠나보내고 빈가지는귀여운 열매가 지키고 있구나.
2025.01.07 -
식물의 한해살이, 낮달맞이꽃, 낮달맞이꽃 꽃말
낮달맞이꽃은 5월~7월에 해가 뜨는 낮에 피어나는 꽃으로, 귀엽고 매력적으로 연한분홍색(분홍낮달맞이꽃)과 진한노란색(황금낮달맞이꽃) 꽃이 핍니다. 1. 눈 속에서 꽁꽁 언 애기의 손처럼 붉은 잎 2. 5월의 꽃봉오리 3. 낮달맞이꽃 꽃말은 무언의 사랑입니다.
2025.01.06 -
(의식동원, 약식동원) 쌀, 백미, 현미, 쌀의 영양성분, 쌀의 구조, 쌀의 효능, 쌀의 이용, 쌀뜨물의 활용, 쌀 섭취 시 주의사항
전 세계 인구의 약 34%가 주식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중국을 통해 들어와 통일신라 시대부터 쌀을 중심으로 한 식생활을 계속하여왔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곡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쌀은 멥쌀과 찹쌀이 있습니다. 멥쌀과 찹쌀 1. 멥쌀의 탄수화물은 20% 정도의 아밀로오스와 80% 정도의 아밀로펙틴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 찹쌀은 겉모양이 희고 부드러워 보이며, 탄수화물은 아밀로펙틴(밥의 차진 맛을 내게 하는 성분)으로만 구성되어 있으며, 찰밥은 소화가 잘되며 끈기가 강하고 씹히는 맛이 좋습니다.백미 현미(玄米)와 백미(白米) - 도정 정도에 따라 현미, 쌀눈쌀(5분도(백미와 현미의 중간),7분도, 9분도 등), 백미 등으로 구분합니다. 1. 현미 – 벼의 껍질(왕겨)을 ..
2025.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