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132)
-
굴거리나무, 교양목, 굴거리나무 열매
굴거리나무(Sloumi)는? 남해안 지방의 따뜻한 곳에서 자라는 늘푸른나무로, 새잎이 난 뒤에 지난해의 잎이 떨어져나간다(즉 자리를 물려주고 떠난다.)고 하여 교양목(交讓木)이라고 합니다. 암수가 다른 나무로 4월~5월에 암꽃은 연초록, 수꽃은 갈색이나 붉은색으로 잎이 나올 때 잎겨드랑이에서 피고, 열매는 머루포도 송이처럼 달리며 검은 자주색으로 익습니다.
2024.02.29 -
겨울철 빨간 열매가 매력적인, 먼나무, 피라칸타
먼나무(Kurogane Holly)는? 겨울에 초록색 잎과 새빨간 열매가 많이 달려 있어서 멀리서도 잘 보인다고 하여 먼나무랍니다. 겨울에 단체로 제주도 여행을 가면 가이드가 물어보는 나무. 저 밖에 빨간 열매가 달려있는 나무가 뭔 나무예요? 뮌 나무요? 먼나무랍니다. 먼나무요? 먼나무여요. 공해에 강해서 도심에 많이 심고, 겨울철에 배고픔에 시달린 새의 먹이를 제공하고, 새를 이용해서 씨앗을 멀리 퍼뜨려 번식합니다. 피라칸타(augustifolius firethorn, 피라칸사스)는? 가을부터 빨간 열매가 인상적인 피라칸타는 쉽게 길거리에서 만날 수 있는 나무중 하나입니다. 열매는 가을부터 봄까지 볼 수 있으며, 추위에 비교적 약해서 주로 남부지방에 자생합니다. 6월에 작은 흰 꽃이 무리지어 핍..
2024.02.20 -
다정큼나무, 다정큼나무 열매
다정큼나무(Yeddo hawthorn)는? 우리나라가 원산지이고, 제주도에서부터 남쪽 섬과 남부 해안의 모래땅에서 자라며, 잎과 열매가 모여서 다정하게 옹기종기 열린다고 하여 다정큼나무라고 합니다. 꽃은 5월경에 하얀색으로 피고, 가을에 흑자색으로 익어가는 콩알만 한 열매도 아름답습니다. 순천만 국가정원에서 나와 사귀는 것이 상대방에게도 도움과 이익이 될 수 있는 사람이 됩시다.
2024.02.09 -
만냥금, 만냥금꽃, 만냥금 꽃말, 만냥금 열매
만냥금(CoralBerry, Spiceberry)은? 야생에서 자생하는 백량금(百兩金 : 붉은 열매가 오랫동안 맺혀 있어 백량의 가치가 있는 나무라는 의미)을 열매가 많이 열리도록 개량한 나무라고 합니다. 아름다운 열매를 감상하기 위한 관상용으로, 실내 공기를 정화시키고 유해물질을 제거해 주어 실내에서 많이 키웁니다. 꽃은 6월~8월에 피고, 만냥금 꽃말은 사랑. 덕있는사람, 부입니다. 열매는 식용이나 약용으로 사용하지 않으며, 붉은 열매가 보석처럼 반짝반짝 빛나는 만냥금입니다. 잘 알아 들어야 소통이 원활 하겠지요.
2024.02.08 -
세한삼우(歲寒三友), 소나무, 대나무, 매화
세한삼우는? 세한삼우는 겨울에 그 정취를 느낄 수 있는 식물들로 '겨울철의 세 친구’라는 뜻이며, 추위에 잘 견디는 소나무(松)와 대나무(竹), 매화(梅)나무를 흔히 한 폭의 그림에 그려서 '송죽매(松竹梅)’라 부릅니다. ‘세한삼우’는 추운 겨울을 이겨 내듯이 어떤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굳건히 살아남는 끈질긴 생명력, 굳은 의지, 확고한 신념 즉 신의를 상징하는 선비정신을 나타낸다고 생각합니다. 소나무는 어떤 환경 속에서도 변함없이 사시사철 푸름을 잃지 않고 한결같음을 유지하는 나무입니다. 또 ‘송수천년(松壽千年)’(=솔은 천년을 살아간다.)이라 하였듯이 세월의 무게를 이겨내고 온갖 풍파 속에서도 자신을 지켜 나가는 나무랍니다. 나무도 아닌 것이 풀도 아닌 것이 곧기는 누가 시켰으며 속은 어찌 비었는가...
2024.02.07 -
꽃기린, 꽃기린꽃, 꽃기린 꽃말
꽃기린(Crown of thorns)은? 원산지는 남아프리카 남동쪽 마다가스카르 섬이고, 선인장 종류로 일 년 내내 꽃을 피웁니다. 예수님의 꽃(줄기에 가시가 있어서?)으로 알려져 있으며, 꽃이 솟아오른 모양이 기린을 닮았다하여 꽃기린이라 합니다. 추위에 약해서 월동 온도는 10℃ 이상으로 유지해야 하며, 가운데 노란 부분이 꽃이고 붉은색, 분홍색, 노란색, 흰색 등의 포로 둘러싸여 있으며, 꽃기린 꽃말은 고난의 깊이를 간직하다입니다. 말조심 하면서 살아야 겠지요.
2024.02.02 -
호랑가시나무, 호랑가시나무 열매
호랑가시나무(Chinese Holly)는? 잎이 육각꼴, 둥근 잎 등의 여러 종류가 있고 잎에는 가시가 많으며, 크리스마스 장식에 이용하는 나무입니다. 호랑이가 이 나뭇잎에 붙은 가시로 등을 긁는다 하여 호랑이 등긁기 나무라고 부르다가 호랑가시나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합니다. 호랑가시나무를 구골목이라 하며 갖가지 뼈 질환(골절, 골다골증, 류머티스 관절염, 요통 등)에 효능이 있습니다. 지나친 욕심, 불평, 불만은 화를 불러 옵니다. 조금만 내려 놓고 밝고 긍정적으로 살아 갑시다.
2024.01.18 -
쥐똥나무, 쥐똥나무 열매, 남정목 열매, 쥐똥나무 효능
쥐똥나무(Ibota Privet)는? 남정목이라고도 하며, 까맣게 익은 열매가 쥐의 똥을 닮아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열매가 비슷한 광나무는 겨울에도 잎이 떨어지지 않는 상록수이며 열매의 색깔도 짙은 보라색을 띄고, 남정목은 남자의 정력을 좋게 하는 나무라는 뜻이라고 합니다. 10월 초 쥐똥나무 열매는 허약체질, 식은땀을 많이 흘리는 증상, 혈변 등에 효능이 있습니다.
2024.01.05 -
애기동백, 애기동백나무꽃, 먼나무 열매, 남천 열매
마산 해안도로변에 있는 옛 철길을 따라 조성된 공원(임항선그린웨이)에는 애기동백 꽃이 활짝 피어 있으며, 먼나무도 빨간 열매가 아름다움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애기동백꽃 감상 먼나무의 빨간색 멸매 남천도 빨간 열매가 예쁘게 달려 있습니다.
2024.01.03 -
식물의 한해살이, 대추, 대추나무꽃, 대추나무 열매
한자이름 대조목에서 대조나무로 다시 대추나무로 변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대추를 보고도 먹지 않으면 늙는다, 양반 대추 한 개가 아침 해장, 대추 세 알이면 죽어 가던 사람도 살릴 수 있다는 속담에서 알 수 있듯이 예로부터 건강에 좋은 과일로, 병을 치료하는 약으로 대추만큼 널리 쓰이는 것도 없다할 정도로 많이 이용 되어 왔고, 열매가 주렁주렁 많이 열려 대추나무에 사랑 열리듯 한다는 속담은 풍요와 다산의 의미가 함축 있습니다. 1. 다른 나무보다 늦게 잎이 나오는 대추나무 2. 앙증맞은 대추나무 꽃과 착과 3. 잘 익어가는 대추, 수확 4. 한 장으로 보기 대추나무에 사랑 열리듯 좋은 일 많이 생기는 날 되십시요.
2023.12.22 -
모과, 노란색으로 익은 모과, 모과꽃
모과의 생김새는 못갱겼지만 향이 좋아 방향제로, 기관지를 튼튼하게 해주고, 감기 증상을 완화시켜주는 효능을 가진 과일입니다.노란색으로 잘 익은 모과를 소개합니다. 4월의 꽃 5월의 열매 맺기 10월의 열매 노란색으로 익은 열매
2023.12.14 -
식물의 한해살이, 남천나무, 천국의 대나무, 남천나무꽃, 남천나무 열매
중국 남부와 인도가 원산으로 정원이나 화단에 관상용으로 많이 심고, 유럽에서는 천국의 대나무(Heavenly bamboo) 또는 성스러운 대나무(Sacred bamboo)라고 불리는 상록성 키작은나무(관목)입니다. 1. 봄에 연녹색 잎과 쌀알 같은 꽃이 모인 봉오리 2. 여름에는 푸른 잎과 노란 꽃술이 화사하고 산뜻하며 하늘거리는 하얀 꽃 3. 가을에 붉게 물들어가는 줄기와 잎, 겨울에 붉은 열매 노란색 열매 4. 한 장으로 보기
2023.12.13 -
식물의 한해살이, 감나무, 감꽃, 감의 효능
감은 단과(丹果)라고도 하며, 모양이나 크기 등에 따라 종류가 많은데, 주로 떫은 감과 단감으로 구분하며, 열매는 복통이나 구토, 기침, 고혈압, 성질이 서늘하여 몸의 열기를 식혀주고, 곶감이나 꽃받침, 잎은 토혈이나 이질, 딸꾹질이나 야뇨증, 기침에 효능이 있는 낙엽이지는 큰키나무(교목)입니다. * 지나치게 많이 먹으면 변비의 위험이 있다고 합니다. 1. 봄이 되면 연한 녹색의 잎이 나고 2. 노란색의 감나무 꽃과 여름의 열매 3. 가을에 붉은색으로 익어가는 감 4. 한 장으로 보기
2023.12.12 -
남천나무, 남천나무 단풍, 남천나무 열매
남부지방에서 심어 기르는 늘 푸른 나무이나 겨울이 되면 잎이 붉은색으로 물들어 단풍 모양이며, 가을부터 익기 시작하는 붉은색 열매가 매력적인 나무입니다. 붉은색으로 물들어 가는 단풍 붉은색의 매력적인 열매
2023.12.07 -
고욤나무, 고욤나무 열매
고욤은? 감처럼 생겼으며 가을이면 구슬 크기의 황갈색 열매가 나무 가득히 열립니다. 감나무 씨를 심으면 고욤나무로 자라고, 고욤나무에 좋은 품종의 감나무 가지를 꺾어다 접붙이기를 하여 감을 생산 합니다. 11월 초순의 고욤나무 열매 잎이 진 후의 열매 실력은 노력을 이기지 못하고, 노력은 즐김을 이기지 못한다.
2023.12.03 -
좀작살나무, 좀작살나무 열매
낙엽이 지고 난 후에 열매만 남은 모습의 좀작살나무입니다.
2023.11.30 -
식물, 생활주기에 따른 분류, 화훼식물
식물의 생활주기(life cycle:생육기간)에 따른 분류 1. 한해살이식물 - 식물의 일생(파종, 발아, 성숙하여 꽃이 피고 열매)이 1년에 끝나는 식물 잡곡류(콩, 팥 등), 들이나 산에서 자라는 잡초류 콩 팥 닭의장풀 2. 두해살이식물 - 주로 가을에 싹이 터서 한해 겨울을 넘긴 이듬해에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는 식물 봄까치꽃, 광대나물 등 봄까치꽃 광대나물 3. 여러해살이식물 - 뿌리나 줄기가 여러 해 동안 살아남아 매년 꽃 피우고 열매를 맺는 식물 나무, 구절초, 벌개미취, 작약, 샤스타데이지, 국화, 비비추 등 겹꽃삼잎국화 부처꽃 여러해살이 화훼식물 1. 구근식물 - 줄기나 뿌리와 같은 식물체 기관의 일부가 특별히 비대해진 식물 다알리아, 칸나, 히야신스, 크로커스, 무스카리, 수선화 등 2...
2023.11.30 -
식물, 나무와 풀, 나무의 분류
식물 - 나무와 풀 식물은 나무와 풀로 나눌 수 있는데, 이는 식물학적 기준이 아니고 인위적으로 나눈 것으로, 다음과 같은 조건에 따라 나무와 풀을 구분합니다. 1. 나무(목본) – 겨울눈이 지상 30cm이상 높이에 형성 껍질 안쪽에 형성층(Cambium : 부름켜)이 세포분열에 의해 매년 두꺼워지면서 살아있는 조직이 반복적으로 나타나 나이테를 만듦. 2. 풀(초본) - 겨울눈이 땅 속이나 땅 부근에 있거나 없음 원시적 형태의 형성층이 한 번만 만들어 지며, 일 년 동안만 자라고 겨울을 지나는 동안 지상부는 말라 죽음. 나무의 분류 1. 키의 높이에 따라 큰키나무(교목) - 다 자랐을 때 대략 6m 이상의 나무. 소나무, 전나무, 편백나무 등 아교목(소교목) - 다 자랐을 때 3~6m. 측백나무, 동백나..
2023.11.29 -
옻나무 단풍, 옻나무 열매, 화살나무 단풍
오장육부의 여러 병을 다스리는 효능이 있어, 닭(오리, 개, 염소 등)에다 같이 넣어서 옻닭으로 먹는 옻나무의 단풍이 아름답게 물들어 있습니다. 옻나무 열매 - 암,수나무가 따로 있으며 열매는 암나무에서 열림 6월의 열매 화살나무의 단풍도 감상해 보세요. 할 말이 없으면 말하지 말라. 순수한 열정이 샘솟으면 그 때 말하라. 열정적으로 말하라.
2023.11.11 -
화살나무, 화살나무 꽃말, 화살나무 열매, 화살나무 단풍
화살나무(Winged eunoymus)는? 나뭇가지에 화살 깃털을 닮은 회갈색의 코르크 날개(2~4개)를 달고 있어 화살나무라 하며, 귀신이 무서워하는 나무라 해서 귀신을 쫓는데 사용했다고 합니다. 화살나무 꽃말은 위험한 장난, 냉정이며, 가을이 되면 붉은 열매와 단풍이 아름다운 나무로, 새순은 나물(홑잎나물)이나 국을 끓여 먹고, 잎 차를 귀전우차 또는 홑잎 차라 합니다.
2023.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