쑥부쟁이(10)
-
마산 대곡산, 가을과 만남
만날고개에서 시작하여 대곡산에 오르면서 단풍으로 물든 가을을 만나고 왔습니다. 만날고개에서 바라 본 대곡산의 가을 아름답게 물든 단풍 구경하고, 떨어진 낙엽을 밟으면서 바스락거리는 소리에 맞추어 정상으로 향합니다. 가을을 떠나보내기 아쉬운 듯 꽃을 피우고 있는 야생화구절초 ↑쑥부쟁이 ↑ 꽃향유 ↑사랑초 ↑↓ 주홍서나물 ↑ 대곡산 정상 부근의 멋진 반송
2024.11.19 -
쑥부쟁이 나물
쑥부쟁이(Aster yomena)는? 수수하고 어느 곳에서나 쉽게 볼 수 있어서 아주 정겨운 야생화로, '쑥 캐는 불쟁이 딸이 죽은 자리에서 자라난 풀'이라고 '쑥부쟁이'라 불렀습니다. 들, 습기가 있는 곳에서 뿌리줄기가 옆으로 벋으며 잘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키는 30~100cm정도 자랍니다. 쑥부쟁이는 비만 예방, 해독 작용, 소화를 잘되게 하고 혈압을 내리게 하며 기침과 천식에 좋음, 가래와 기관지염, 편도선염, 어깨 결림에서 오는 심한 통증 및 복통에 효과가 있습니다. 쑥부쟁이 나물 만들기 1. 오염되지 않은 곳에서 부드러운 잎과 줄기를 채취합니다. 2. 깨끗하게 씻어 소금을 조금 넣고 데쳐 줍니다. 3. 즉시 찬물에 담가 씻어 줍니다. 4. 물기를 꼭 짜내고 * 국으로 끓여 먹습니..
2024.04.26 -
쑥부쟁이, 고려쑥부쟁이, 쑥부쟁이꽃, 쑥부쟁이 꽃말, 쑥부쟁이 효능, 쑥부쟁이 먹는 방법, 쑥부쟁이 부작용
쑥부쟁이(Aster yomena)는? 우리나라 특산식물로 고려쑥부쟁이라고도 하며, 들, 습기가 있는 곳에서 잘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키는 30-100cm 정도이고, 수수하고 어느 곳에서나 쉽게 볼 수 있어서 아주 정겨운 야생화입니다. 쑥부쟁이 전설 - 옛날 어느 고을에 가난한 대장장이의 11명의 자식 중, 큰딸은 병든 어머니와 동생들을 위해 열심히 쑥을 캐서 동생들을 돌보며 살았는데, 사람들은 이런 큰딸을 '쑥 캐는 불쟁이 딸'이라고 '쑥부쟁이'라 불렀습니다. 어느 날 멧돼지 함정에 빠진 사냥꾼을 구하게 되고, 그 사냥꾼은 가을에 꼭 다시 오겠다는 약속을 하고 떠났지만, 가을이 되어도 오지 않는 사냥꾼을 기다리던 쑥부쟁이는 쑥을 캐다가 산에서 발을 헛디뎌 절벽 아래로 떨어져 죽었습니다. 쑥부쟁이가 죽은 ..
2024.01.15 -
가을에 피는 꽃, 코스모스, 금목서, 고마리, 여뀌, 적하수오, 쑥부쟁이, 산국, 감국, 구절초, 화순국화축제
가을이 오면 상쾌한 바람과 함께 여행을 하고 푼 생각이 절로 들지요. 여행 대신 산이나 들에 나가서 흔히 볼 수 있지만, 멋진 꽃을 한번 찾아가 보는 즐거움을 느껴 보고 싶지 않으세요. 코스모스 - 가을을 알리는 꽃이랍니다. 금목서 - 노란색의 꽃, 짙은 향기가 꿈길을 걷는 느낌을 주기에 충분합니다. 고마리 - 들이나 물가, 논밭 가에서 흔히 볼 수 있고, '꿀의 원천'이라는 꽃말을 갖고 있는 꽃. 여뀌 - 잡초로 취급 받으며 무심코 지나쳐 버린 꽃, 무더기로 피니 이렇게 예쁘네요. 적하수오 - 흰머리를 검게 만들어주는 약효를 가진 약초, 하얀 꽃도 매우 아름답네요. 가을에 피는 들국화(쑥부쟁이, 산국, 감국, 구절초)라 부르는 꽃 들. 1. 쑥부쟁이 - '불쟁이(대장장이) 딸이 쑥을 캐러 가다 칼에 찔..
2023.10.29 -
무학산, 가을 야생화, 꽃향유, 쓴풀, 구절초, 산부추, 쑥부쟁이, 이고들빼기, 화살나무, 용담
오랫만에 무학산에서 가을 야생화를 만나고 왔습니다. 화려하고 무리지어 피지는 않았지만 등산로 입구에서부터 꽃향유와 구절초가 반겨주는 가을 산행이었습니다. 1. 무학산(舞鶴山)은? - 학이 춤을 추는 모습의 산 2. 꽃향유와 쓴풀 3. 구절초 4. 멀리 보이는 돝섬(돼지섬)과 마창대교 5. 산부추와 쑥부쟁이 6. 안개 약수터 - 약수로 목을 축이고 7. 이고들빼기와 단풍이 들기 시작한 화살나무 8. 정상에서 바라본 마산 시가지 9. 용담
2023.10.23 -
쑥 캐는 불쟁이 딸, 쑥부쟁이, 쑥부쟁이꽃, 쑥부쟁이 꽃말, 쑥부쟁이 효능, 쑥부쟁이 전설
쑥부쟁이(Aster yomena)는? 쑥 캐는 불쟁이(대장장이) 딸의 죽은 혼이 꽃으로 피어났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우리나라 특산식물로 고려쑥부쟁이라고도 하며, 늦은 여름부터 가을까지 볼 수 있는 수수하고 아주 정겨운 야생화입니다. 꽃은 7월~10월에 연한 보라색으로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여러 송이가 달리며, 다른 이름으로 쑥부장이, 권영초 등이 있고, 쑥부쟁이 꽃말은 그리움, 기다림입니다. 비타민 C가 풍부하며 잎과 줄기는 국으로, 데쳐서 나물로, 밥을 해서 먹기도 하며, 해독 작용, 해열제와 이뇨제, 소화, 혈압 강하, 기침과 천식, 비만 예방, 어깨 결림, 복통에 효능이 있습니다.
2023.09.18 -
쑥부쟁이, 쑥부쟁이 나물, 쑥부쟁이 효능
쑥부쟁이(Aster yomena)는? 수수하고 어느 곳에서나 쉽게 볼 수 있어서 아주 정겨운 야생화로, '쑥 캐는 불쟁이 딸'이라고 '쑥부쟁이'라 불렀습니다. 들, 습기가 있는 곳에서 뿌리줄기가 옆으로 벋으며 잘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키는 30~100cm정도 자랍니다. 쑥부쟁이는 비만 예방, 해독 작용, 소화를 잘되게 하고 혈압을 내리게 하며 기침과 천식에 좋음, 가래와 기관지염, 편도선염, 어깨 결림에서 오는 심한 통증 및 복통에 효과가 있습니다. 10월의 꽃 쑥부쟁이 나물 만들기 1. 오염되지 않은 곳에서 부드러운 잎과 줄기를 채취합니다. 2. 깨끗하게 씻어 소금을 조금 넣고 데쳐 줍니다. 3. 즉시 찬물에 담가 씻어 줍니다. 4. 물기를 꼭 짜내고 * 국으로 끓여 먹습니다. * 간장 양념을 하여 ..
2023.04.26 -
쑥부쟁이, 고려쑥부쟁이, 쑥부쟁이꽃, 쑥부쟁이 꽃말, 쑥부쟁이 효능, 쑥부쟁이 먹는 방법, 쑥부쟁이 부작용
쑥부쟁이(Aster yomena)는? 우리나라 특산식물로 고려쑥부쟁이라고도 함. 전설 - 옛날 어느 고을에 가난한 대장장이의 11명의 자식 중, 큰딸은 병든 어머니와 동생들을 위해 열심히 쑥을 캐서 동생들을 돌보며 살았는데, 사람들은 이런 큰딸을 '쑥 캐는 불쟁이 딸'이라고 '쑥부쟁이'라 불렀습니다. 어느 날 멧돼지 함정에 빠진 사냥꾼을 구하게 되고, 그 사냥꾼은 가을에 꼭 다시 오겠다는 약속을 하고 떠났지만, 가을이 되어도 오지 않는 사냥꾼을 기다리던 쑥부쟁이는 쑥을 캐다가 산에서 발을 헛디뎌 절벽 아래로 떨어져 죽었습니다. 쑥부쟁이가 죽은 절벽 아래에는 나물이 무성하게 자라 사람들은 쑥부쟁이가 배고픈 동생들을 위한 것이라고 믿었습니다. 그 나물이 가을에 연한 보라색 꽃을 피우고 긴 목을 하고 있는 것..
2023.01.16 -
경상남도수목원의 10월의 향기 1 - 감국, 개미취, 구절초, 대상화, 쑥부쟁이, 아스타, 핑크뮬리
경상남도수목원에 아름다운 감국, 개미취, 구절초, 대상화, 쑥부쟁이, 아스타, 핑크뮬리가 피어 10월 가을의 향기를 전해주고 있습니다. 수목원 가는 길의 익어가는 벼가 만든 황금 벌판 감국 개미취 한라 구절초 대상화 단양 쑥부쟁이 아스타 핑크뮬리
2022.10.11 -
쑥부쟁이, 쑥부쟁이꽃, 쑥부쟁이 꽃말
쑥부쟁이(Aster yomena)는? 쑥 캐는 불쟁이(대장장이) 딸의 죽은 혼이 꽃으로 피어났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우리나라 특산식물로 고려쑥부쟁이라고도 하며, 늦은 여름부터 가을까지 볼 수 있는 수수하고 아주 정겨운 야생화입니다. 꽃은 7월~10월에 연한 보라색으로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여러 송이가 달리며, 다른 이름으로 쑥부장이, 권영초 등이 있고, 쑥부쟁이 꽃말은 그리움, 기다림입니다. 비타민 C가 풍부하며 잎과 줄기는 국으로, 데쳐서 나물로, 밥을 해서 먹기도 하며, 해독 작용, 해열제와 이뇨제, 소화, 혈압 강하, 기침과 천식, 비만 예방, 어깨 결림, 복통에 효능이 있습니다.
2022.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