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진강 물길 따라(9)
-
섬진강 물길 따라, 요천 합류, 장선습지, 고달습지 형성
순창군을 지난 섬진강 물줄기는 옥과천을 만나고 나서부터는 유속이 느려지면서 습지를 만들고 동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전라북도 남원시와 전라남도 곡성군의 경계를 이루면서 흐르다가, 남원에서 흘러온 요천을 만나면서 다시 남쪽으로 흐릅니다. 금곡교에서 본 섬진강 섬진강 상류 방향 ↑ 섬진강 하류 방향 ↑ 철새들의 모습 요천대교에서 본 요천(남원을 거쳐 흘러온 하천) 요천과 수지천의 합류와 장선습지(곡성읍 강정리에서) 보호수(수령 250년의 팽나무) 고달교에서 본 고달습지(하류로 가면 침실습지로 이어짐) 섬진강의 습지 강물이 평양지대에 이르면서 유속이 느려져 강물과 함께 떠내려 온 흙과 모래가 차곡차곡 쌓여 모래톱을 만들고, 여기에 버드나무와 갈대 등의 다양한 식물들이 자라면서 형성되었습니다. 섬진강은 전남 곡성군..
2024.03.10 -
섬진강 물길 따라, 오수천 합류, 향가터널, 경천합류, 향가 목교
장군목유원지에서 많은 작품을 만든 섬진강 물은 순창군 적성면에서 오수천과 합류합니다. 오수천과 합류 오수천의 구남교에서 본 우평교(좌)과 잠수교(우), 앞쪽은 오수천 우평교(섬진강 하류쪽) 잠수교(섬진강 상류쪽) 구남교에서 본 오수천 상류 방향 우평교 옆에 있는 정자 평남정 경천의 합류(강천산에서 발원하여 순창읍을 경유하여 순창군 유등면에서 섬진강으로 유입) - 섬진강은 여기서부터 순창군과 남원시의 경계를 이루며 흐름 향가터널- 일제 강점기 말 순창, 남원, 담양 지역의 쌀을 수탈하기 만든 384m의 터널 향가유원지 주변인 순창군 풍산면 대가리에 위치한 일제강점기에 만들어진 터널(향가마을 뒷산을 관통하는 터널)로 LED 조명, 조형물 새들의 향연과 그림타일이 제작, 설치되어 있습니다. 향가(香佳)는? 섬..
2024.01.22 -
섬진강 물길 따라, 장군목유원지, 요강바위, 돌개구멍
섬진강댐에 막혀 옥정호에서 잠시 머물던 섬진강 물은 남쪽으로 흘러, 전라북도 순창군 동계면 어치리에 이르러 원형이나 타원형의 돌개구멍(pot hole)으로 이루어진 기묘한 바위들이 맑고 깨끗한 강물 위로 약 3km에 걸쳐 드러나 있는데 마치 용틀임을 하며 살아 움직이는 형상을 지니고 있는 자연 발생 유원지, 섬진강이 만들어 낸 최고의 걸작 품인 장군목유원지가 있습니다. * 돌개구멍(pot hole)은? 속이 깊고 둥근 항아리 구멍이란 뜻이며, 수만 년 동안 거센 물살에 운반되던 모래나 자갈이 바위의 오목한 곳에 들어가 소용돌이와 함께 회전하면서 암반을 깎아 만들어지는 지형 장군목 유원지와 현수교 섬진강이 오랜 세월동안 깎아 만든 장군목 유원지 장군목유원지 최고의 작품 요강바위 * 요강바위는? 바위 가운데..
2024.01.21 -
섬진강 물길 따라, 섬진강댐, 추령천, 옥정호
운암교에서 정읍시 산내면 산내교를 거쳐 섬진강댐을 찾아갑니다. 정읍시 산내면에서는 추령천이 옥정호로 흘러 들어옵니다. 섬진강댐은? 전라북도 임실군 강진면 용수리와 정읍시 산내면 종성리의 섬진강 상류에 위치한 콘크리트 중력식 댐으로, 1965년 12월에 준공한 우리나라 최초의 다목적 댐(호남지방에 전력 공급, 동진강 하류 지역에 농업용수 공급, 홍수 피해를 막을 목적)으로 건설되었습니다. 댐의 높이 64m, 제방의 길이 344.2m, 15개의 수문으로 건설 되어, 466백만 톤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옥정호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섬진강댐 ↑↓ 옥정호 ↑↓ 섬진강댐 하류 섬진강 물길은 남쪽으로 흘러 순창으로 향합니다.
2023.12.20 -
섬진강 물길 따라, 운암대교, 운암교, 섬진강댐 물문화관
국사봉전망대에서 붕어섬 잘 감상하고 옥정호를 따라 제1전망대와 제2전망대를 지나 운암대교를 보고, 운암교와 섬진강댐물문화관에 도착 합니다. 운암대교(910m) - 1989년 준공되었으며, 옥정호를 가로지르는 교량. 운암교에서 바라 본 운암대교 * 물안개 속에 보이는 모습과 야간 조명이 켜진 모습이 환상적인 아름다움을 보여 준다고 합니다. 운암교 - 운암대교를 건너 약 7km의 거리 섬진강댐으로 가는길에 섬과 운암교(뒤쪽) 섬진강댐 물문화관 (전라북도 임실군 운암면 운종리 443-21(운암면 강운로 1239)) * 휴관일(매주 월요일)이라 내부는 들어가 보지 못하고 다음을 기약 하면서 돌아 섭니다. 섬진강댐 물문화관에서 바라 본 나래산정상 전망대 아름다운 옥정호 드라이브 하면서 섬진강댐으로 갑니다.
2023.12.19 -
섬진강 물길 따라, 국사봉과 붕어섬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에서 서쪽으로 방향을 잡은 섬진강은 많은 지천이 합쳐져서 전라북도 임실군 운암면에서 옥정호에 이르러 잠시 쉬어갑니다. 옥정호(玉井湖)는? 1965년 12월 섬진강 다목적댐이 건설되면서 섬진강 상류수계에 생긴 인공호수로, 전라북도 임실군과 정읍시에 걸쳐 있으며, 운암호(雲岩湖) 또는 갈담저수지(葛潭貯水池)라 불리기도 합니다. 옥녀동천의 합류 - 전라북도 임실군 운암면에서 옥녀동천이 합류합니다. 내동교에서의 옥녀동천 상류 하류 쪽인 옥정호 방향 국사봉전망대에서의 붕어섬 내동교에서 옥정호의 맑은 물과 아름다운 풍경을 보면서 가다보면 국사정과 국사봉전망대(임실군 운암면 산 64-12(운암면 국사봉로 512))에 이르게 되고, 이곳에서 바라보는 붕어섬은 한 폭의 동양화를 보는듯한 느낌을 갖게..
2023.12.18 -
섬진강 물길 따라, 은천과 새동천 합류, 쌍벽루, 강정대, 합미산성, 수선루
데미샘에서 발원한 섬진강은 백운계곡의 물과 합류하여 북쪽으로 흐릅니다. 진안군 마령면 강정리에서 마이산 용궁에서 발원하여 은천을 이룬 물과 합류하고, 조금 떨어진 곳에서 새동천과 합류하면서 북쪽으로 흐르던 물줄기가 서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옥정호로 향합니다. 강정교에서의 섬진강 왼쪽 물줄기가 은천, 오른쪽 물줄기가 데미샘에서 내려오는 섬진강 왼쪽 교각 밑으로 흐르는 섬진강, 오른쪽 수선루진입교 쪽에서 합류하는 새동천 쌍벽루(雙碧樓)와 강정대(江亭臺) 쌍벽루는 마령면사무소에서 강정교 쪽으로 국도를 따라가다 보면 절벽위에 품위가 느껴지게 지어진 누각으로, 일제 강점기(1942년)에 참봉 전영선이 지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바로 옆에는 암벽에 글씨(암각서)를 새겨 놓은 강정대가 있습니다. 합미산성 삼국시대에..
2023.12.17 -
섬진강 물길 따라, 섬진강발원지, 용궁, 마이산, 탑사
마이산 탑사(塔寺)는? 마이산의 남부주차장에서 약 1.9km(걸어서 30분) 정도 떨어진 암마이봉(686m)의 남쪽 사면에 위치한 한국불교 태고종 소속의 사찰입니다. 남부주차장에서 금당사와 탑영제를 지나 만나게 되는 탑사는 이갑용 처사가 쌓은 다양한 크기의 일자형과 원뿔형의 80여개 돌탑으로 유명합니다. 탑사 둘러보기 탑사 입구 대웅전 천지탑 약사탑 월광탑 이갑용 처사 추모비와 석상 섬진강 발원지 용궁 탑사 대웅전 바로 아래에 섬진강 발원지인 용궁이 있으며, 이 물은 탑영제에서 잠시 머물다가 은천을 이루며, 데미샘에서 흘러 온 물과 진안군 마령면 강정리에서 만나 옥정호로 흘러갑니다. 용궁 ↑↓ 위의 건물은 대웅전 약수터 ↑↓
2023.12.05 -
섬진강 물길 따라, 섬진강 발원지 데미샘, 천상데미
섬진강(蟾津江)은? 데미샘(또는 마이산 용궁)에서 발원하여 옥정호(갈담저수지, 정읍시와 임실군의 경계)를 이루고, 순창군, 곡성군, 구례군, 하동군을 거쳐 광양만으로 흐르며, 총 길이는 225㎞입니다. 오염원이 없어 어떤 강보다 깨끗한 물이 흐르고 있으며, 고운 모래가 있는 강이라 모래내, 모래가람, 다사강(多沙江), 사천(沙川) 등으로 불렸으며, 고려시대 1385년(우왕 11)에 왜구가 침입하자 수십만 마리의 두꺼비가 울부짖어 왜구를 물러가게 했다는 전설에서 유래하여 두꺼비 섬(蟾)자를 붙여 섬진강이라 했다고 합니다. 데미샘 섬진강 발원지인 데미샘에서 광양만까지 섬진강을 따라 여행하면서 주변의 풍경과 문화재나 유적지 등을 소개 하고자 합니다. 섬진강 발원지 데미샘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 신암리 팔공산(..
2023.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