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6)
-
오상(五常),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 신(信)
오상(五常) - 유교에서 사람이 지켜야(갖추어야) 할 다섯 가지 도리(덕목),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 무신불립(無信不立)은 사람에게 믿음이 없으면 살아갈 수 없다는 뜻. 사람이 살아가는 데 가장 중요한 미덕은 신뢰라는 의미. 신(信) - 토(土), 중앙 1. 信 : 믿을 신 – 믿다, 펴다, 늘어남, 신표 2. 사람(人)과 말(言)의 합성어, 자기가 한 말에 자기가 기어코 지키는 그 사람이 바로 믿을 수 있는 사람. 3. 가장 믿을만한 사람은 말의 잘함이 아니고 말의 지킴, 즉 자기가 말한 대로 행하는 사람, 약속을 지키는 사람 4. 신(信)은 언행일치(言行一致)를 의미함. 믿을 수 있는 사람은? 1. 광명지심(光名之心)으로 중심을 잡고 항상 가운데에 바르게 위치해 밝은 빛을 냄으로써 믿음을 주는..
2022.12.06 -
오상(五常),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 지(智)
오상(五常) - 유교에서 사람이 지켜야(갖추어야) 할 다섯 가지 도리(덕목),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 老馬之智(노마지지) - 늙은 말의 지혜. 아무리 하찮은 것일지라도 저마다 장기나 장점을 지니고 있다는 말. 제나라 환공(桓公)이 길을 잃고 헤맬 때, 관중(管仲)이 늙은 말을 풀어 놓고 그 뒤를 따라가 마침내 길을 찾았다는 고사에서 비롯된 성어. 지(智) - 수(水), 북쪽, 겨울 1. 智 : 슬기 지 – 슬기, 슬기롭다, 꾀, 지혜로운 사람 2. 알지(知)는 矢(시)와 口(구)로 구성, 사람의 입에서 나가는 말은 무서운 화살과 같은 무기로 지식이라는 의미, 그래서 “아는 것이 힘이다.” 3. 지(智)는 알지(知)에 해일 자(日 - 해, 태양, 뚜렷하다)가 하나 더 붙어 화살처럼 무서운 사람의 ..
2022.12.04 -
오상(五常),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 예(禮)
오상(五常) - 유교에서 사람이 지켜야(갖추어야) 할 다섯 가지 도리(덕목),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 삼지지례(三枝之禮) - 지극(至極)한 효성(孝誠)을 비유해 이르는 말. - 비둘기는 예의가 발라 새끼는 어미가 앉은 가지에서 세 가지 아래에 앉는다고 함. 예(禮) - 화(火), 남쪽, 여름 1. 禮 : 예도 예 – 예도, 예법, 예식, 예물 2. 땅귀신 기(示)자와 풍년들 풍(豊)자로 구성되어 있고, 기(示)는 신적 존재, 풍(豊)은 제기(祭器)인 ‘豆(두)’에다 제물을 담아 신에게 봉헌하는 제사 의례를 의미하여, 예의 어원적 의미는 제사 의례(祭祀儀禮)에서 찾을 수 있음. 3. 예는 인간 삶의 중대한 일(관혼상제 - 冠婚喪祭)에서부터 이웃과의 일상적 교제에 이르기까지, 음식이나 의복과 앉고 일..
2022.12.01 -
오상(五常),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 의(義)
오상(五常) - 유교에서 사람이 지켜야(갖추어야) 할 다섯 가지 도리(덕목),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 사생취의(捨生取義) - 목숨을 버리고 의로움을 따른다는 뜻. 목숨을 버릴지언정 옳은 일을 함을 이르는 말. 목숨을 던져 의로움을 취함. 의리 또는 의로움을 위해서라면 목숨까지 바치는 올곧은 기개를 나타내는 표현 의(義) - 금(金), 서쪽, 가을 1. 義 : 옳을 의 – 옳다, 의롭다, 바르다, 은혜 2. 양 머리를 그린 羊(양양)자와 권위나 권력을 상징하는 삼지창을 그린 我(나아)자가 합하여 종족 내부를 결속하기 위한 권력자들의 역할을 표현한 것. 3. 불의를 참지 못하는 것. 다른 사람의 잘못된 행동에 분개하는 것. 친구 간에 사회 구성원 간에 의리를 지키는 것. 옳바른 사람은? 1. 수오..
2022.11.29 -
오상(五常),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 인(仁)
오상(五常) - 유교에서 사람이 지켜야(갖추어야) 할 다섯 가지 도리(덕목),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 인자무적(仁者無敵) - 어진 사람은 모든 사람을 사랑하므로 천하에 적으로 대하는 사람이 없다는 뜻. 인(仁) - 목(木), 봄, 동쪽 1. 仁 : 어질 인 – 어질다, 어진 이, 사람, 사람의 마음 2. 인(人)과 이(二)의 두 글자가 합해서 된 것이며, 어질다, 친(親)하다는 뜻. - 자애로움, 친근함, 인정(人情)이 있음. 3. 선(善)의 근원이 되고 행(行)의 기본이 되는 것. 4. 공자는 사람이 사람답게 살 수 있는가를 사람 자신의 어진 마음인 인(仁)에서 찾았음. 5. 인을 구성하는 여러 덕목 중에서 핵심은 사랑으로 사랑이 부모에게 미치면 효가 되고, 형제에게 미치면 우(友)가 되며, 남..
2022.11.27 -
오상(五常),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 한양도성, 4대문과 보신각
오상(五常) - 유교에서 사람이 지켜야(갖추어야) 할 다섯 가지 도리(덕목),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 오행(五行) - 도교에서 인간 사회의 다섯 개 원소로 생각된 화(火), 수(水), 목(木), 금(金), 토(土)의 운행변전(運行變轉). 행(行)은 운행의 뜻. 한양도성은 사람이 지켜야(갖추어야) 할 다섯 가지 도리(덕목)인 오상(五常)에 기초하여 건립한 것입니다. 즉 인간(人間)이 갖춰야 할 덕목(德目)에 따라, 인의예지(仁義禮智)의 4 대문을 배치하고, 그 중심에서 종을 울리는 것은 仁義禮智를 갖추어야 인간은 신뢰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동대문은 인(仁)을 일으키는 문이라 해서 흥인지문(興仁之門) 서대문은 의(義)를 두텁게 갈고 닦는 문이라 해서 돈의문(敦義門) 남대문은 예(禮)를 숭상하..
2022.1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