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심편(6)
-
마음을 다스리는 글, 명심보감, 성심편 하2
王良曰 欲知其君인대 先視其臣하고 欲識其人인대 先視其友하고 왕량왈 욕지기군 선시기신 욕식기인 선시기우 欲知其父인대 先視其子하라 君聖臣忠하고 父慈子孝니라 욕지기부 선시기자 군성신충 부자자효 그 임금을 알고자 한다면 먼저 그 신하를 살펴보고, 그 사람을 알고자 한다면 먼저 그 벗을 살펴보고, 그 아비를 알고자 한다면 먼저 그 자식을 살펴보라. 임금이 성스러우면 그 신하가 충성스럽고, 아비가 인자하면 자식이 효도한다.” ..
2024.06.10 -
마음을 다스리는 글, 명심보감, 성심편 상1
명심보감 성심편(省心篇) 보화보다는 충효를 중시하고, 불의하면서 부귀를 누리는 것은 오래가지 못하며, 세상 일들이 예측할 수 없이 흥망성쇠가 순환하고 있으니 평소 자신을 절제하고 감사하는 마음을 가질 것을 강조한 경구가 실려 있습니다.
2024.02.21 -
마음을 다스리는 글, 명심보감, 성심편
擊壤詩云 平生에 不作皺眉事하면 世上에 應無切齒人이라 격양시운 평생 불작추미사 세상 응무절치인 大名을 豈有鐫頑石가 路上行人이 口勝碑니라 대명 기유전완석 로상행인 구승비 평생에 눈썹 찡그릴 일을 하지 않으면 세상에 이를 갈 원수 같은 사람이 없을 것이다. 크게 난 이름을 어찌 뜻 없는 돌에 새길 것인가. 길가는 사람의 입이 비석(碑石)보다 나으리라. 명심보감 성심편상 - 격양시 有麝自然香이니 何必當風立고 유사자연향 하필당풍립 사향(麝香)을 지녔으면 저절로 향기로운데 어찌 반드시 바람이 불어야만 향기가 나겠는가. 명심보감 성심편상 有福莫享盡하라 福盡身貧窮이요 有勢莫使盡하라 勢盡寃相逢이니라 유복막향진 복진신빈궁 유세막사진 세진원상봉 福兮常自惜하고 勢兮常自恭하라 人生驕與侈는 有始多無終이니라 복혜상자석 세혜상자공 ..
2023.12.30 -
마음을 다스리는 글, 명심보감, 성심편 하3
壯元詩云 國正天心順이요 官淸民自安이라 장원시운 국정천심순 관청민자안 妻賢夫禍少요 子孝父心寬이니라 처현부화소 자효부심관 나라가 바르면 하늘도 순할 것이요, 벼슬아치가 바르고 깨끗하면 온 백성이 저절로 편하느니라. 아내가 어질면 남편의 화(禍)가 적을 것이요, 자식이 효도하면 아버지의 마음이 너그러워지느니라 명심보감 성심편하 - 장원시 子曰 木從繩則直하고 人受諫則聖이니라 자왈 목종승칙직 인수간칙성 나무가 먹줄을 좇으면 곧고, 사람이 간(諫)함을 받아들이면 거룩하게 되느니라. 명심보감 성심편하 - 공자 一派靑山景色幽러니 前人田土後人收라 일파청산경색유 전인전토후인수 後人收得莫歡喜하라 更有收人在後頭니라 후인수득막환희 갱유수인재후두 한 줄기 푸른 산은 경치가 그윽하구나. 저 땅은 옛사람이 가꾸던 밭인데 뒷 사람들이..
2023.12.09 -
마음을 다스리는 글, 명심보감, 성심편
王良曰 欲知其君인대 先視其臣하고 欲識其人인대 先視其友하고 왕량왈 욕지기군 선시기신 욕식기인 선시기우 欲知其父인대 先視其子하라 君聖臣忠하고 父慈子孝니라 욕지기부 선시기자 군성신충 부자자효 그 임금을 알고자 한다면 먼저 그 신하를 살펴보고, 그 사람을 알고자 한다면 먼저 그 벗을 살펴보고, 그 아비를 알고자 한다면 먼저 그 자식을 살펴보라. 임금이 성스러우면 그 신하가 충성스럽고, 아비가 인자하면 자식이 효도한다.” 명심보감 성심편 하 - 왕량 家語云 水至淸則無魚하고 人至察則無徒니라 가어운 수지청칙무어 인지찰칙무도 물이 지극히 맑으면 고기가 없고, 사람이 지극히 살피면 친구가 없다. 명심보감 성심편 하 - 가어 許敬宗曰 春雨如膏나 行人은 惡(오)其泥濘하고 허경종왈 춘우여고 행인 악 기니녕 秋月揚輝나 盜者는 ..
2023.06.10 -
마음을 다스리는 글, 명심보감, 성심편
子曰 不觀高崖면 何以知顚墜之患이며 不臨深泉이면 何以知沒溺之患이며 자왈 불관고애 하이지전추지환 불임심천 하이지몰익지환 不觀巨海면 何以知風波之患이리오. 불관거해 하이지풍파지환 높은 낭떠러지를 보지 않으면 어찌 굴러 떨어지는 환란을 알며, 깊은 샘에 가지 않으면 어찌 빠져 죽을 환란을 알며 큰 바다를 보지 않으면 어찌 풍파가 일어나는 무서운 환란을 알리요. 명심보감 성심편 상– 공자 欲知未來인대 先察已然이니라 욕지미래 선찰기연 미래를 알고자 한다면, 먼저 지나간 일을 살필지니라. 명심보감 성심편 상 子曰 明鏡은 所以察形이요 往古는 所以知今이니라 자왈 명경 소이찰형 왕고 소이지금 밝은 거울은 얼굴을 살피는 수단이요, 지나간 일은 오늘을 아는 방법이이니라. 명심보감 성심편 – 공자 過去事는 明如鏡이요 未來事는 暗..
2023.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