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개미취(8)
-
벌개미취, 벌개미취꽃, 벌개미취 꽃말, 벌개미취 효능, 벌개미취 먹는 방법, 벌개미취 부작용
벌개미취(Korean Daisy)는? 우리나라에서만 자라는 한국 특산 식물로 벌판에 피는 개미취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며, 볕이 잘 들고 물기가 많은 산이나 들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입니다. 꽃은 6월~10월에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달리며 120일 이상 연한 자주색으로 피고, 벌개미취 꽃말은 청초, 너를 잊지 않으리 입니다. 벌개미취 효능 - 가을에 뿌리와 전초를 햇빛에 건조하여 사용. 1. 급만성 호흡기질환 - 폐결핵, 천식, 기침을 멈추고, 가래 제거. 2. 항암효과 – 유방암, 폐암, 복수암에 효과. 3. 항염 작용 – 폐렴, 인후염, 편도선염, 만성 기관지염, 호흡기 감염증에 활용. 4. 심혈관질환 예방 및 개선 - 콜레스테롤 수치 저하, 고지혈증에 효과. 5. 항균작용 – 대장균. 이질균. 콜..
2025.01.28 -
경상남도수목원, 8월의 꽃과 열매, 긴산꼬리풀, 낙상홍 열매, 백당나무 열매,벌개미취, 노랑상사화
긴산꼬리풀 – 동물 꼬리 모양의 보라색 꽃 드라세나프라그란스 맛상게아나 - 아프리카 서부의 기니아 및 에디오피아 원산의 행운목 낙상홍 열매 – 붉은색으로 익어가는 열매 백당나무 열매 – 익어가는 열매 벌개미취 – 들에 피는 개미취 상사화 – 노란색
2024.08.25 -
7월의 꽃, 부용, 비누풀, 벌개미취, 미국미역취, 솔잎금계국, 왕원추리, 라디칸스능소화
경상남도수목원의 7월에 피는 꽃 소개합니다. 부용 코키네우스 부용 ↑ 비누풀 벌개미취 미국미역취 솔잎금계국 ‘문빔’ 왕원추리 라디칸스능소화(미국능소화)
2024.07.27 -
항암효과가 있는, 벌개미취, 벌개미취 효능, 벌개미취 먹는 방법, 벌개미취 부작용
벌개미취(Korean Daisy)는? 벌판에 피는 개미취라고 해서 벌개미취라고 하며, 햇볕이 잘 들고, 물기가 많은 산이나 들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번식력이 매우 왕성하며 무리지어 생육하는 특성이 있는 우리나라에서만 자라는 한국 특산 식물입니다. 줄기는 가지가 갈라지며 파진 홈과 줄이 있고, 곧게 자람며, 꽃은 6-10월에 120일 이상 연한 자주색으로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달려 핍니다. 벌개미취 효능 - 봄가을에 뿌리를 햇빛에 건조하여 사용. 1. 기침을 멈추고, 가래 제거. 2. 뿌리와 잎 – 항암효과. 3. 폐 계통의 질병 - 폐결핵, 천식, 폐암 등. 4. 인후가 건조할 때, 급 만성 호흡기 감염증에 활용. 벌개미취 먹는 방법 – 취나물처럼 약간 쓴 맛이 남. 1. 새순 : 잎을 삶아 나물로..
2024.01.14 -
10월의 꽃, 구절초, 개미취
경상남도수목원 10월의 꽃 구절초, 한라구절초, 서흥구절초, 개미취, 개미취 진다이, 벌개미취입니다. 구절초 한라구절초 서흥구절초 개미취 개미취 진다이 벌개미취
2023.10.05 -
벌판에 피는 개미취, 벌개미취, 벌개미취 꽃말, 벌개미취 효능
벌개미취(Korean Daisy)는? 벌판에 피는 개미취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며, 볕이 잘 들고 물기가 많은 산이나 들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우리나라에서만 자라는 한국 특산 식물입니다. 꽃은 6월~10월에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달리며 120일 이상 연한 자주색으로 피고, 꽃말은 청초, 너를 잊지 않으리입니다. 새순은 삶아서 나물(말려서 묵나물로도 좋음)로, 꽃은 향이 좋은 차로, 전초를 건조하여 기침, 가래, 폐결핵, 폐암, 항암제로 사용합니다.
2023.08.14 -
들길에 핀 8월의 꽃, 칡꽃, 강아지풀, 금불초, 미나리, 벌개미취, 설악초, 질경이
요즘 날씨가 너무 더워(찜통 더위, 불볕 더위, 살인 더위 등)서 야외에 나가기가 겁이 납니다. 한 낮에는 선풍기 앞에서 고개 숙이고 밖에 나갈 엄두도 못내고 있다가 해질녘에 잠시 운동삼아 들길을 걸어 봅니다. 왕성한 생병력으로 밭 둑을 점령한 칡꽃 강아지풀 - 약한 바람에도 강아지가 꼬리를 흔드는 모습 금불초 - 노란색으로 예쁘게 단장한 모습 미나리 - 독특한 향과 맛을 지녔고, 아름답고 하얗게 핀 꽃 벌개미취 - 들에 피는 개미취 하얀 잎 가운데 작은 꽃이 피는 설악초 끈질긴 생명략을 지닌 질경이
2023.08.03 -
개미취, 개미취 꽃말, 개미취 진다이, 벌개미취
개미취(Tatarian Aster)는? 원산지가 아시아인 여러해살이풀로, 산속 습지에서 약 1~2m 정도 자라며, 봄철에 어린잎을 나물로 먹고, 한방에서는 뿌리를 해갈, 진해, 거담 증세의 약재로 이용합니다. 꽃은 7월~10월에 원줄기 끝에 나란히 달려 보라색으로 피며, 개미취 꽃말은 추억, 추상, 너를 잊지 않으리, 이별, 기억, 먼 곳의 벗을 그리워하다입니다. 개미취 진다이(Aster tataricus 'Jindai') - 우리의 개미취를 일본에서 개량한 품종 벌개미취(Korean Daisy) 벌판에 피는 개미취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며, 우리나라에서만 자라는 한국 특산 식물입니다. 꽃은 6월~10월에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달리며 120일 이상 연한 자주색으로 피고, 벌개미취 꽃말은 청초, 너를..
2022.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