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선편(4)
-
마음을 다스리는 글, 명심보감, 계선편
馬援曰 終身行善 善猶不足 一日行惡 惡自有餘 마원왈 종신행선 선유부족 일일행악 악자유여 일생 동안 선을 행할지라도 선은 오히려 부족하며, 하루 동안 악을 행할지라도 악은 그대로 남아 있느니라. 명심보감 계선편 – 마원 司馬溫公曰 積金以遺子孫 未必子孫 能盡守 積書以遺子孫 未必子孫 能盡讀 사마온공왈 적김이유자손 미필자손 능진수 적서이유자손 미필자손 능진독 不如積陰德於冥冥之中 以爲子孫之計也 부여적음덕어명명지중 이위자손지계야 돈을 모아 자손에게 남겨 줄지라도 반드시 자손이 능히 지킨다고 할 수 없으며, 책을 모아 자손에게 남겨 줄지라도 반드시 자손이 능히 다 읽지는 못할 것이니, 드러내지 않는 가운데 음덕을 쌓아 자손계(子孫計:자손을 위하여 하는 계획)로 삼은 것만 같지 못하느니라. 명심보감 계선편 – 사마온공 ..
2024.04.21 -
마음을 다스리는 글, 명심보감, 계선편
명심보감(明心寶鑑) ‘明心’은 마음을 밝힌다는 의미이고, ‘寶鑑’은 보배로운 거울이라는 의미. 유교 , 불교, 도교의 사상에서 철학과 도덕과 정치 이념을 추려서 담아 놓은 책. 1305년에 고려 충렬왕 때의 문신 ‘추적(秋適)’이 어린이들의 학습을 위하여 중국 고전에 나온 선현들의 금언(金言)·명구(名句)를 편집하여 총 19편으로 만든 책. * 지금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초략본은 1637년(인조 15)의 것으로, 초략본은 19편 247조로 구성. * 중국 범입본이 편찬한 완본에는 홍무제 26년(1393년)이라는 연호가 적혀있으며, 20편 798조로 전해짐. * 근래에 와서 5편을 증보하고 내용을 보충하여 24편으로 되어 있음. 명심보감 - 계선편 漢昭烈 將終 勅後主曰 勿以善小而不爲 勿以惡小而爲之 한소열..
2024.01.25 -
마음을 다스리는 글, 명심보감, 계선편
馬援曰 終身行善 善猶不足 一日行惡 惡自有餘 마원왈 종신행선 선유부족 일일행악 악자유여 일생 동안 선을 행할지라도 선은 오히려 부족하며, 하루 동안 악을 행할지라도 악은 그대로 남아 있느니라. 명심보감 계선편 – 마원 司馬溫公曰 積金以遺子孫 未必子孫 能盡守 積書以遺子孫 未必子孫 能盡讀 사마온공왈 적김이유자손 미필자손 능진수 적서이유자손 미필자손 능진독 不如積陰德於冥冥之中 以爲子孫之計也 부여적음덕어명명지중 이위자손지계야 돈을 모아 자손에게 남겨 줄지라도 반드시 자손이 능히 지킨다고 할 수 없으며, 책을 모아 자손에게 남겨 줄지라도 반드시 자손이 능히 다 읽지는 못할 것이니, 드러내지 않는 가운데 음덕을 쌓아 자손계(子孫計:자손을 위하여 하는 계획)로 삼은 것만 같지 못하느니라. 명심보감 계선편 – 사마온공 ..
2023.04.21 -
마음을 다스리는 글, 명심보감, 계선편
명심보감(明心寶鑑) ‘明心’은 마음을 밝힌다는 의미이고, ‘寶鑑’은 보배로운 거울이라는 의미. 유교 , 불교, 도교의 사상에서 철학과 도덕과 정치 이념을 추려서 담아 놓은 책. 1305년에 고려 충렬왕 때의 문신 ‘추적(秋適)’이 어린이들의 학습을 위하여 중국 고전에 나온 선현들의 금언(金言)·명구(名句)를 편집하여 총 19편으로 만든 책. # 지금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초략본은 1637년(인조 15)의 것으로, 초략본은 19편 247조로 구성. # 중국 범입본이 편찬한 완본에는 홍무제 26년(1393년)이라는 연호가 적혀 있으며, 20편 798조로 전해짐. # 근래에 와서 5편을 증보하고 내용을 보충하여 24편으로 되어 있음. 漢昭烈 將終 勅後主曰 勿以善小而不爲 勿以惡小而爲之 한소열 장종 칙후주왈 물..
2023.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