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을 다스리는 글, 명심보감, 성심편 하3

2023. 12. 9. 08:13일상, 여행, 풍경/일상 - 좋은글

728x90

 

           壯元詩云 國正天心順이요 官淸民自安이라
           장원시운 국정천심순         관청민자안 
                妻賢夫禍少요 子孝父心寬이니라
                처현부화소    자효부심관
 나라가 바르면 하늘도 순할 것이요, 벼슬아치가 바르고 깨끗하면 온 백성이 저절로 편하느니라. 아내가 어질면 남편의 화()가 적을 것이요, 자식이 효도하면 아버지의 마음이 너그러워지느니라
                                                                                                                                       명심보감 성심편하 - 장원시


             子曰 木從繩則直하고 人受諫則聖이니라
             자왈 목종승칙직         인수간칙성
 나무가 먹줄을 좇으면 곧고, 사람이 간()함을 받아들이면 거룩하게 되느니라.
                                                                                                                                          명심보감 성심편하 - 공자


             一派靑山景色幽러니 前人田土後人收라
             일파청산경색유        전인전토후인수  
           後人收得莫歡喜하라 更有收人在後頭니라
            후인수득막환희       갱유수인재후두
 한 줄기 푸른 산은 경치가 그윽하구나. 저 땅은 옛사람이 가꾸던 밭인데  사람들이 거두는 것이다,  사람은 차지했다 해서 기뻐하지 말라. 다시 거둘 사람은 뒤에 있느니라.
                                                                                                                                                    명심보감 성심편하


     蘇東坡曰 無故而得千金이면 不有大福이라 必有大禍니라
     소동파왈 무고이득천금         불유대복         필유대화
 까닭 없이 천금을 얻는 것은 큰 복이 있는 것이 아니라, 큰 재앙이 있느니라.
                                                                                                                                         명심보감 성심편하 - 소동파

 

 

                 康節邵先生曰 有人來問卜하되
                 강절소선생왈 유인래문복 
         如何是禍福고 我虧人是禍요 人虧我是福이니라
         여하시화복   아휴인시화    인휴아시복
 나에게 자기의 운수를 묻는 사람이 있으니 어떠한 것이 화와 복인고. 내가 남을 해롭게 하면 이것이 화(). 남이 나를 해롭게 하면 이것이 복()이니라.
                                                                                                                               명심보감 성심편하 - 강절소선생


      大廈千間이라도 夜臥八尺이요 良田萬頃이라도 日食二升이니라
      대하천간       야와팔척     량전만경       일식이승
 큰 집이 천간(千間)이라도 밤에 눕는 곳은 여덟 자 뿐이요. 좋은 밭이 만평이 있더라도 하루 두 되면 먹느니라.
                                                                                                                                                       명심보감 성심편하


   久住令人賤이요 頻來親也疎라 但看三五日에 相見不如初니라
   구주령인천         빈래친야소      단간삼오일     상견불여초
 오래 머물러 있으면 사람으로 하여금 천하게 여기고, 자주 오면 친하던 것도 멀어지느니라. 오직 사흘이나 닷새 만에 서로 보는데도 처음 보는 것 같지 않느니라.
                                                                                                                                                        명심보감 성심편하


          渴時一滴은 如甘露요 醉後添盃는 不如無니라
          갈시일적   여감로   취후첨배   불여무
 목이 마를 때 한 방울의 물은 단 이슬과 같고, 취한 후에 잔을 더하는 것은 안 먹는 것만 못하느니라.
                                                                                                                                                        명심보감 성심편하

 

 고욤나무 열매

             酒不醉人人自醉요 色不迷人人自迷니라
             주불취인인자취     색불미인인자미
 술이 사람을 취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스스로 취하는 것이요. ()이 사람을 미혹(迷惑)시키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스스로 미혹하는 것이니라.
                                                                                                                                                       명심보감 성심편하


               公心을 若比私心이면 何事不辦이며
               공심   약비사심           하사불변 
               道念을 若同情念이면 成佛多時니라
               도념     약동정념         성불다시
 ()을 위하는 마음이 사()를 위하는 마음에 비할 수 있다면 무슨 일이든지 옳고 그름을 가려내지 못할 것이며, ()를 향하는 마음이 만약 남녀의 정()을 생각하는 마음과 같다면 성불(成佛)한 지도 이미 오래일 것이니라.
                                                                                                                                                         명심보감 성심편하


     濂溪先生曰 巧者言하고 拙者黙하며 巧者勞하고 拙者逸하며
    염계선생왈 교자언          졸자묵          교자노         졸자일 
        巧者賊하고 拙者德하며 巧者凶하고 拙者吉하나니 
        교자적          졸자덕         교자흉        졸자길  
  嗚呼라 天下拙이면 刑政이 撤하여 上安下順하며 風淸弊絶이니라
 오호      천하졸         형정      철         상안하순         풍청폐절
 교자(재주있고 꾀있음)는 말을 잘하고, 졸자(재주없고 어리석음)는 말이 없으며, 교자는 수고로우나, 졸자는 한가하다. 교자는 패악하나 졸자는 덕성(德性)스러우며, 교자는 흉하고 졸자는 길하다. 아아! 천하가 졸하면 정치가 철저하여서 임금은 편안하고 백성은 잘 복종하며, 풍속은 맑고 나쁜 습관은 없어지느니라.
                                                                                                                                     명심보감 성심편하 - 염계선생


       易曰 德微而位尊하고 智小而謀大면 無禍者鮮矣니라
       역왈 덕미이위존         지소이모대      무화자선의
 덕이 적은데 지위가 높으며, 지혜가 없으면서 꾀하는 것이 크다면 화()가 없는 자가 드물 것이니라.
                                                                                                                                             명심보감 성심편하 -  

 

 

 

욕심이 지나치면 화를 부른다고 합니다.

조금씩 양보하면서 삽시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