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자성어(10)
-
마음을 다스리는 글, 사자성어, 극기1
수적석천(水滴石穿) - 물방울이 돌을 뚫는다. * 작은 것들이 모여 결국 큰 일이 된다는 말입니다. * 천리 길도 한걸음부터 시작 해야겠지요. 자승자강(自勝子强) - 자신을 이기는 자가 강한 자다 *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어려움을 극복하고, 포기하거나 좌절하지 않는 자세가 중요하겠죠. 등고자비(登高自卑) - 높은 곳에 올라가려면 낮은 곳에서부터 오른다. * 욕심을 앞세우지 말고 목표를 세워서 한 가지씩 문제를 해결해 나가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일일삼성(一日三省) - 그날그날 한 일을 세 번 반성하라. * 반성하고 잘못을 고쳐 나간다면 후회할 일은 없겠지요. 고진감래(苦盡甘來) - 고생 끝에 낙이 온다는 말. * 인내는 쓰고 열매는 달다고 했습니다. * 참고, 노력하는 사람에게 낙이 찾아온..
2024.06.20 -
마음을 다스리는 글, 사자성어, 가정
호천망극(昊天罔極) - 부모의 은혜가 매우 크고 끝이 없다는 의미입니다. *낳아 주시고, 기르고, 보살펴 주신 은혜를 생각해 봅니다.반포지효(反哺之孝) - 까마귀 새끼가 자라서 어미 새를 먹이는 효를 의미합니다. * 부모 섬기기를 지극히 한다는 효의 상징입니다.풍수지탄(風樹之嘆) - 부모에게 효도하고자 할 때엔 이미 돌아가셔서 그 뜻을 이룰 수 없다는 말입니다. * 부모님이 살아 계실 때 효도 해야죠.정성온청(定省溫淸) - 아침 저녁으로 부모의 이부자리를 보살펴 안부를 묻고, 따뜻하고 서늘하게 한다는 뜻입니다. * 자식이 부모를 섬기는 도리로 효성을 다하는 마음이 이래야 겠지요.사친이효(事親以孝) - 어버이를 섬김에 효도로써 한다는 의미입니다. * 세속오계 수신제가(修身齊家) - 심신을 닦고 ..
2024.05.13 -
마음을 다스리는 글, 사자성어, 출이반이, 낭중지추, 학문(배움의 길)
내 마음 속에 항상 간직하고 되새겨 보는 사자성어 출이반이(出爾反爾) : 너에게서 나온 것은 너에게 돌아온다. 자신에게서 나온 것이 자신에게 되돌아온다는 뜻으로, 좋은 일과 나쁜 일 모두 자기 자신으로부터 나온다는 말입니다. 자기가 뿌린 씨는 자기가 거두게 된다는 뜻이니, 자신을 먼저 돌아보는 것(남의 탓, 변명, 시기, 질투, 중상, 모략 등보다)이 밝은 세상을 향하는 길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낭중지추(囊中之錐) : 주머니 속의 송곳이라는 의미입니다. 재능이 뛰어난 사람은 숨어 있다 하더라도 남의 눈에 띄게 된다는 의미로, 억지로 자신의 업적과 명성을 내세우려 하지 않고 묵묵히 자신의 자리에서 지식과 재능을 쌓으면 그 노력과 의미를 알아줄 날이 오겠지요. 배움의 길 교학상장(敎學相長) = 효학상장(斅學..
2024.03.22 -
마음을 다스리는 글, 사자성어, 봄과 인물
화풍난양(和風暖陽) - 솔솔 부는 화창한 바람과 따스한 햇볕. * 따뜻한 바람과 햇볕의 화창한 봄 날이 기다려 집니다. 연하고질(煙霞痼疾) - 산수의 좋은 경치를 깊이 사랑하는 마음이 대단히 강해 마치 고치지 못할병이 든 것 같음을 비유. * 자연을 좋아하고 즐기는 좋은 병이네요. 만화방창(萬化方暢) - 따뜻한 봄날에 만물이 나서 자람. * 따뜻해지는 날씨도 좋고, 꽃이 피고 만물이 소생하는 봄은 아름답지요. 천자만홍(千紫萬紅) - 색색의 꽃이 피어 있는 상태. * 봄이 오면 수많은 꽃들이 우리를 반겨 주겠지요. 화용월태(花容月態) - 꽃다운 얼굴과 달 같은 자태. * 아름다운 여자의 얼굴과 고운 자태를 이르는 말입니다. 설부화용(雪膚花容) - 눈처럼 흰 살결과 꽃처럼 고운 얼굴. * 눈과 꽃을 비유한 ..
2024.03.11 -
마음을 다스리는 글, 사자성어, 노력
인일기백(人一己百) - 남이 한 번할 때, 나는 백 번을 함. * 남보다 더 열심히 노력해야 좋은 결실을 맺을 수 있다. 백련천마(百練千磨) - 백 번 삶아서 익히고, 천 번 감. * 명주 실은 백 번 삶아야 희어지고, 옥은 천 번을 갈아야 빛을 낸다. * 도덕, 학문, 기술을 노력하여 닦아야 한다. 송무백열(松茂栢悅) - 소나무가 무성해지니 잣나무가 기뻐함. * 남이 잘되는 것을 기뻐한다. 사돈이 땅을 사면 배 아파 하지 않고, 친구의 잘 됨을 기뻐한다. 苦盡甘來(고진감래) - 쓴 것이 다하면 단 것이 옴. * 고생 끝에 낙이 온다는 말입니다. 每事盡善(매사진선) - 모든 일에 최선을 다함. * 모든 일에 진심 어린 마음으로 자신의 역할을 충실하게 한다. 事必歸正(사필귀정) - 모든 일은 반드시 바..
2024.02.03 -
마음을 다스리는 글, 사자성어, 극기
삼사일언(三思一言) - 세 번 생각하여 한 번 말한다. * 말이 많으면 허물이 많아지고, 말이 적으면 바보라도 지혜롭다고 했습니다. * 생각은 깊게 하고 말을 아끼는 사람이 현명한 사람이겠지요? 일인백락(一忍百樂) - 한 번 참으면 백 번 즐겁다. * 반대로 생각해 보면 참지 못하면 화를 불러 오겠지요. 지석심경(志石心鏡) - 뜻은 돌처럼 굳게, 마음은 거울처럼 맑게 하라. * 말이나 행동은 변함이 없이(일관성 있게)하고, 마음은 거울처럼 맑고 깨끗하게 하라는 의미입니다. 무괴아심(無愧我心) - 나의 마음에 부끄러움이 없도록 하라. * 내 마음에 한 점 부끄러움이 없도록 어질고 바르고 착하게 살라는 의미입니다. 근심지무(根深枝茂) - 뿌리가 깊으면 가지가 무성하다. * 뿌리고 가꾸면 그 만큼 좋..
2023.12.30 -
마음을 다스리는 글, 사자성어, 극기
수적석천(水滴石穿) - 물방울이 돌을 뚫는다. * 작은 것들이 모여 결국 큰 일이 된다는 말입니다. * 천리 길도 한걸음부터 시작 해야겠지요. 자승자강(自勝子强) - 자신을 이기는 자가 강한 자다 *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어려움을 극복하고, 포기하거나 좌절하지 않는 자세가 중요하겠죠. 등고자비(登高自卑) - 높은 곳에 올라가려면 낮은 곳에서부터 오른다. * 욕심을 앞세우지 말고 목표를 세워서 한 가지씩 문제를 해결해 나가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일일삼성(一日三省) - 그날그날 한 일을 세 번 반성하라. * 반성하고 잘못을 고쳐 나간다면 후회할 일은 없겠지요. 고진감래(苦盡甘來) - 고생 끝에 낙이 온다는 말. * 인내는 쓰고 열매는 달다고 했습니다. * 참고, 노력하는 사람에게 낙이 찾아온다는 의미입니다..
2023.06.20 -
마음을 다스리는 글, 사자성어, 가정
호천망극(昊天罔極) - 부모의 은혜가 매우 크고 끝이 없다는 의미입니다. *낳아 주시고, 기르고, 보살펴 주신 은혜를 생각해 봅니다. 반포지효(反哺之孝) - 까마귀 새끼가 자라서 어미 새를 먹이는 효를 의미합니다. * 부모 섬기기를 지극히 한다는 효의 상징입니다. 풍수지탄(風樹之嘆) - 부모에게 효도하고자 할 때엔 이미 돌아가셔서 그 뜻을 이룰 수 없다는 말입니다. * 부모님이 살아 계실 때 효도 해야죠. 정성온청(定省溫淸) - 아침 저녁으로 부모의 이부자리를 보살펴 안부를 묻고, 따뜻하고 서늘하게 한다는 뜻입니다. * 자식이 부모를 섬기는 도리로 효성을 다하는 마음이 이래야 겠지요. 사친이효(事親以孝) - 어버이를 섬김에 효도로써 한다는 의미입니다. * 세속오계 수신제가(修身齊家) - 심신을 닦고 집..
2023.05.13 -
사자성어, 출이반이, 낭중지추, 학문(배움의 길)
내 마음 속에 항상 간직하고 되새겨 보는 사자성어 출이반이(出爾反爾) : 너에게서 나온 것은 너에게 돌아온다. 자신에게서 나온 것이 자신에게 되돌아온다는 뜻으로, 좋은 일과 나쁜 일 모두 자기 자신으로부터 나온다는 말입니다. 자기가 뿌린 씨는 자기가 거두게 된다는 뜻이니, 자신을 먼저 돌아보는 것(남의 탓, 변명, 시기, 질투, 중상, 모략 등보다)이 밝은 세상을 향하는 길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낭중지추(囊中之錐) : 주머니 속의 송곳이라는 의미입니다. 재능이 뛰어난 사람은 숨어 있다 하더라도 남의 눈에 띄게 된다는 의미로, 억지로 자신의 업적과 명성을 내세우려 하지 않고 묵묵히 자신의 자리에서 지식과 재능을 쌓으면 그 노력과 의미를 알아줄 날이 오겠지요. 학문(배움의 길) 교학상장(敎學相長) = 효학상..
2023.03.22 -
마음을 다스리는 글, 사자성어, 극기
삼사일언(三思一言) - 세 번 생각하여 한 번 말한다. * 말이 많으면 허물이 많아지고, 말이 적으면 바보라도 지혜롭다고 했습니다. * 생각은 깊게 하고 말을 아끼는 사람이 현명한 사람이겠지요? 일인백락(一忍百樂) - 한 번 참으면 백 번 즐겁다. * 반대로 생각해 보면 참지 못하면 화를 불러 오겠지요. 지석심경(志石心鏡) - 뜻은 돌처럼 굳게, 마음은 거울처럼 맑게 하라. * 말이나 행동은 변함이 없이(일관성 있게)하고, 마음은 거울처럼 맑고 깨끗하게 하라는 의미입니다. 무괴아심(無愧我心) - 나의 마음에 부끄러움이 없도록 하라. * 내 마음에 한 점 부끄러움이 없도록 어질고 바르고 착하게 살라는 의미입니다. 근심지무(根深枝茂) - 뿌리가 깊으면 가지가 무성하다. * 뿌리고 가꾸면 그 만큼 좋..
2022.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