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리(2)
-
(의식동원, 약식동원) 보리, 보리쌀, 보리쌀 영양, 보리쌀 효능, 보리 먹는 방법, 보리 부작용
보리(barley)는? 기원전 7,000년 전에부터 야생종이 재배되기 시작하여 식량 작물로는 가장 오래되었으며, 한자로는 대맥(大麥)이라 합니다. 보릿고개(가을에 수확한 곡식이 봄이 되면 다 떨어져 배고픔을 견뎌내고 초근목피(풀뿌리나 나무껍질)로 연명하며 살았던 어려운 시기로 보리가 익어야 허기를 채울 수 있었음)를 넘기게 해준 중요한 식량이었으나 지금은 생산량이 감소하여 쌀보다 드문 곡식이 되었고 건강을 위하여 특별히 먹는 밥이 되었습니다. 보리의 종류 1. 겉보리 - 껍질이 종실에 달라붙어 분리되지 않는 것, 주로 동물의 사료나 맥주를 만드는 데 사용 2. 쌀보리 - 껍질이 종실에서 쉽게 분리되는 것, 보통 쌀에 섞어서 밥을 하는 보리, 도정을 하면 보리쌀. 녹말 성분의 하나인 아밀로오스 함량에 따라..
2025.01.10 -
5월 들길에 핀 야생화, 지칭개, 방가지똥, 뽀리뱅이, 반하
지칭개 – 초봄에 나물로 먹을 수 있습니다. 방가지똥 – 노란 꽃이 피고 잎에는 가시가 있습니다. 뽀리뱅이 – 화려하지는 않지만 매력이 있습니다. 반하 – 독성이 있으며, 약용으로 이용합니다. 보리와 밀 – 허기를 달래주던 고마운 작물이었는데...... 자기만 생각하는 사람에게는 사랑과 친구가 없고,비교하는 사람에게는 만족이 따르지 않는다.
2024.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