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 꽃말(2)
-
식물의 한해살이, 벼, 벼꽃, 벼 수확
우리나라에서는 약 4,000년 전부터 재배해오고 있는 식량작물로 나락, 나록(羅祿) 등으로 부르고, 수확한 벼의 겉껍질(왕겨)을 벗겨낸 것을 현미, 속껍질을 벗겨낸 것을 백미라 하여 우리의 주식으로 이용되어 온 고마운 작물입니다. 1. 늦봄의 모판과 초여름의 모내기(5월말~6월초) 2. 더위를 이겨내며 잘 자라는 벼와 벼꽃, 꽃말은 풍요 3. 익어가며 고개를 숙이는 벼와 수확
2025.01.13 -
벼도 꽃이 핍니다, 벼꽃, 벼 꽃말
벼(Oryza sativa, rice)는? 전 세계 인구의 절반 정도가 주식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주로 논에서 심어 기르는 한해살이풀로 우리나라에서는 약 4,000년 전부터 재배해오고 있는 가장 중요한 식량작물입니다. 5월 39일 모내기 다른 이름으로 나락, 나록(羅祿) 등이 있으며, 벼꽃은 8월말~9월초에 벼 이삭이 올라오면서 피기 시작 하며, 벼꽃이 가장 많이 피는 시간은 오전 10시 부터 오후 2시경까지이고, 벼 꽃말은 풍요입니다. 7월 30일 잘 자라고 있는 벼 벼(나락)가 자라서 익으면 수확(추수)을 하는데, 수확한 벼의 겉껍질(왕겨)을 벗겨낸 것을 현미, 속껍질을 벗겨낸 것을 백미라 하여 우리의 주식으로 이용되어 온 고마운 작물이며, 양조, 제과, 떡, 공업용 녹말 등의 원료로도 이용됩니다. 항..
2023.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