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을 다스리는 글, 명심보감, 입교편 1

2024. 1. 13. 14:40일상, 여행, 풍경/일상 - 좋은글

728x90

 

     子曰 立身有義하니 而孝爲本이요 喪紀有禮하니 而哀爲本이요
     자왈 입신유의         이효위본         상사유례          이애위본
     戰陣有列하니 而勇爲本이요 治政有理하니 而農爲本이요
     전진유열         이용위본         치정유리          이농위본
     居國有道하니 而嗣爲本이요 生財有時하니 而力爲本이니라
    거국유도          이사위본         생재유시          이력위본
 입신(立身)에 의(義)가 있으니 효도가 그 근본이요, 상사(喪事)에 예(禮)가 있으니 슬퍼함이 그 근본이요, 싸움터에 대열(隊列)이 있으니 용맹이 그 근본이 된다. 나라를 다스리는 데 이치가 있으니 농사가 그 근본이 되고, 나라를 지키는 데 도(道)가 있으니 후사(後嗣)가 그 근본이요, 재물은 생산함에 시기가 있으니 노력이 그 근본이다.
                                                                                                                                              명심보감 입교편 – 공자


       景行錄云 爲政之要는 曰公與淸이요 成家之道는 曰儉與勤이니라
       경행록운 위정지요     일공여청         성가지도     일검여근
 정사(政事)의 요점은 공평과 청렴이요, 집을 크게 이루는 길은 검약과 근면이다.
                                                                                                                                        명심보감 입교편 – 경행록


           讀書는 起家之本이요 循理는 保家之本이요
           독서    기가지본          순리     보가지본
           勤儉은 治家之本이요 和順은 齊家之本이니라
          근검     치가지본           화순     제가지본
 독서는 집을 일으키는 근본이요, 이치를 따름은 집을 잘 보존하는 근본이요, 근면과 검약은 집을 다스리는 근본이요, 화목과 순종은 집안을 가지런히 하는 근본이다.
                                                                                                                                                           명심보감 입교편

 

                     孔子三計圖云 一生之計는 在於幼하고 一年之計는 在於春하고
                     공자삼계도운 일생지계     재어유         일년지계     재어춘
                   一日之計는在於寅이니 幼而不學이면 老無所知요
                  일일지계     재어인         유이불학          노무소지  
               春若不耕이면 秋無所望이요 寅若不起면 日無所辦이니라
               춘약불경         추무소망          인약불기     일무소변
 일생의 계획은 어릴 때에 있고, 일년의 계획은 봄에 있고, 하루의 계획은 새벽에 있다. 어려서 배우지 않으면 늙어서 아는 것이 없고, 봄에 밭 갈지 않으면 가을에 바랄 것이 없으며, 새벽에 일어나지 않으면 그 날에 하는 일이 없다.
                                                                                                                                 명심보감 입교편 - 공자삼계도


                                  性理書云五敎之目은父子有親하며
                                  성리서운 오교지목    부자유친
    君臣有義하며 夫婦有別하며 長幼有序하며 朋友有信이니라
    군신유의         부부유별         장유유서          붕우유신
 오교(五敎)의 조목(條目)은 아버지와 자식 사이에는 서로 친함이 있으며, 임금과 신하 사이에는 의리가 있으며, 남편과 아내 사이에는 분별이 있으며, 어른과 어린이 사이에는 차례가 있으며, 친구 사이에는 믿음이 있는 것이다.
                                                                                                                                           명심보감 입교편 - 성리서


                    三綱은 君爲臣綱이요 父爲子綱이요 夫爲婦綱이니라
                    삼강     군위신강         부위자강          부위부강
 삼강은 임금이 신하의 벼리(근본)가 됨이요, 아버지는 자식의 벼리가 됨이요, 남편은 아내의 벼리가 된다는 것이다.
                                                                                                                                                             명심보감 입교편


                      王蠋曰 忠臣은 不事二君이요 烈女는 不更二夫니라
                     왕촉왈  충신     불사이군         열녀      불경이부
 충신은 두 임금을 섬기지 않고, 열녀는 두 지아비를 섬기지 않는다.
                                                                                                                                                 명심보감 입교편 - 왕촉

 

         忠子曰 治官엔 莫若平이요 臨財엔 莫若廉이니라
         충자왈 치관     막약평         임재      막약염
 벼슬을 다스림에는 공평한 것만한 것이 없고, 재물에 임해서는 청렴만한 것이 없다.
                                                                                                                                      명심보감 입교편 - 충자


     張思叔座右銘曰 凡語를 必忠信하며 凡行을 必篤敬하며
     장사숙좌우명왈  범어    필충신         범행      필독경
    飮食을必愼節하며 字畫을 必楷正하며 容貌를 必端莊하며
    음식    필신절         자획      필해정        용모      필단장
   衣冠을 必肅整하며 步履를 必安詳하며 居處를 必正靜하며 
   의관    필정숙          보리      필안상         거처     필정정
    作事를 必謀始하며 出言을 必顧行하며 常德을 必固持하며
    작사     필모시         출언     필고행          상덕     필고지
       然諾을 必重應하며 見善如己出하며 見惡如己病하라
       연낙     필중응         견선여기출          견악여기병
    凡此十四者는 皆我未深省이라 書此當座隅하여 朝夕視爲警하노라
    범차십사자    개아미심성          서차당좌우          조석시위경
 무릇 말을 반드시 충성되고 미덥게 하며, 행실을 반드시 돈독히 하고 공경히 하며, 음식을 반드시 삼가고 알맞게 하며, 글씨를 반드시 반듯하고 바르게 쓰며, 용모를 반드시 단정하고 엄숙히 하며, 의관을 반드시 엄숙하고 바르게 하며, 걸음걸이를 반드시 편안하고 자상히 하며, 거처하는 곳을 반드시 바르고 정숙하게 하며, 일하는 것을 반드시 계획을 세워 시작하며, 말을 하는 것을 반드시 그 실행 여부를 생각해서 하며, 평상의 덕(德)을 반드시 굳게 가지며, 승낙하는 것을 반드시 신중히 대응하며, 선(善)을 보거든 자기에게서 나온 것 같이 하며, 악(惡)을 보거든 자기의 병인 것처럼 하라. 무릇 이 열 네 가지는 모두 내가 아직 깊이 살피지 못한 것이다. 이것을 자리의 귀퉁이에 해당하는 곳에 써 붙여 놓고 아침저녁으로 보고 경계하노라.
                                                                                                                                명심보감 입교편 – 장사숙 좌우명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