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여행, 풍경/일상 - 좋은글

마음을 다스리는 글, 명심보감, 성심편

청산 명월 2023. 12. 30. 07:25
728x90

 

      擊壤詩云 平生에 不作皺眉事하면 世上에 應無切齒人이라
     격양시운  평생     불작추미사         세상     응무절치인 
          大名을 豈有鐫頑石가 路上行人이 口勝碑니라
          대명    기유전완석      상행인     구승비
 평생에 눈썹 찡그릴 일을 하지 않으면 세상에 이를 갈 원수 같은 사람이 없을 것이다. 크게 난 이름을 어찌 뜻 없는 돌에 새길 것인가. 길가는 사람의 입이 비석(碑石)보다 나으리라.
                                                                                                                               명심보감 성심편상 - 격양시


                 有麝自然香이니 何必當風立고
                 유사자연향        하필당풍립
 사향(麝香)을 지녔으면 저절로 향기로운데 어찌 반드시 바람이 불어야만 향기가 나겠는가.
                                                                                                                                               명심보감 성심편상


            有福莫享盡하라 福盡身貧窮이요 有勢莫使盡하라 勢盡寃相逢이니라
            유복막향진         복진신빈궁          유세막사진         세진원상봉 
          福兮常自惜하고 勢兮常自恭하라 人生驕與侈는 有始多無終이니라
          복혜상자석         세혜상자공         인생교여치      유시다무종
 복이 있다 해도 다 누리지 말라. 복이 다하면 몸이 빈궁해 질 것이요. 권세가 있다 해도 함부로 부리지 말라. 권세가 다하면 원수와 서로 만나느니라. 복이 있거든 항상 스스로 아끼고 권세가 있거든 항상 스스로 겸손 하라. 사람에 있어서 교만과 사치는 처음은 있으나 흔히 나중에는 없는 것 이니라.
                                                                                                                                                 명심보감 성심편상


        王參政四留銘曰 留有餘不盡之巧하여 以還造物하고
        왕삼정사유명왈 유유여부진지교         이환조물 
                留有餘不盡之祿하여 以還朝廷하고
                유유여부진지록        이환조정 
                留有餘不盡之財하여 以還百姓하고
                유유여부진지재         이환백성 
               留有餘不盡之福하여 以還子孫이니라
               유유여부진지복        이환자손
 여유 있는 재주를 다 쓰지 않았다가 조물주에 돌려주고, 여유 있는 봉록을 다 쓰지 않았다가 조정에 돌려주고, 여유 있는 재산은 다 쓰지 않았다가 백성에게 돌려주며, 여유 있는 복을 다 누리지 않았다가 자손에게 돌려 줄 지니라.
                                                                                                              명심보감 성심편상  왕삼정의 사유명

 

         黃金千兩이 未爲貴요 得人一語가 勝千金이니라
         황금천냥     미위귀     득인일어     승천금
 황금 천냥이 귀한 것이 아니고, 사람의 좋은 말 한마디 듣는 것이 천금(千金)보다 나으리라.
                                                                                                                                          명심보감 성심편상


              巧者는 拙之奴요 苦者는 樂之母니라
              교자     졸지노     고자     낙지모
 재주 있는 사람은 재주 없는 사람의 종이 되고, 괴로움은 즐거움의 근본이 되느니라.
                                                                                                                                         명심보감 성심편상


           小船은 難堪重載요 深逕은 不宜獨行이니라
           소선     난감중재     심경     불의독행
 작은 배는 무겁게 싣는 것을 견디기 어렵고, 으슥한 길은 혼자 다니기에 좋지 못하느라.
                                                                                                                                          명심보감 성심편상


             黃金이 未是貴요 安樂이 値錢多니라
              황금    미시귀      안락    치전다
 황금이 귀한 것이 아니요, 편안하고 즐거움이 보다 값 많은 것 이니라.
                                                                                                                                          명심보감 성심편상


        在家에 不會邀賓客이면 出外에 方知少主人이니라
        재가     부회요빈객         출외      방지소주인
 집에 손님을 맞아 대접할 줄 모르면, 밖에 나가서 다른 집에 손님으로 가 보아야 반갑게 맞아줄 주인이 적음을 알리라.
                                                                                                                                             명심보감 성심편상

 

           貧居鬧市無相識이요 富住深山有遠親이니라
           빈거요시무상식         부주심산유원친
 가난하게 살면 번화한 시장거리에 살아도 서로 아는 사람이 없고, 넉넉하게 살면 깊은 산 중에 살아도 먼 데서 찾아오는 친구가 있느니라.
                                                                                                                                              명심보감 성심편상


         人義는 盡從貧處斷이요 世情은 便向有錢家니라
         인의     진종빈처단          세정     편향유전가
 사람의 의리는 다 가난 한데서 끊어지고, 세상의 인정은 곧 돈 있는 집으로 쏠리느니라.
                                                                                                                                               명심보감 성심편상


               寧塞無底缸이언정 難塞鼻下橫이니라
              녕색무저항               난색비하횡
 차라리 밑 빠진 항아리는 막을지언정 코 아래 가로 놓인 것()은 막기 어려우니라.
                                                                                                                                                 명심보감 성심편상


                   人情은 皆爲窘中疎니라
                    인정   개위군중소
 사람의 정분은 다 궁색한 가운데서 성기어 지게 되느니라.
                                                                                                                                                   명심보감 성심편상


      史記曰 郊天禮廟는 非酒不享이요 君臣朋友는 非酒不義요
     사기왈 교천예묘      비주불향         군신붕우      비주불의 
     鬪爭相和는 非酒不勸이라 故로 酒有成敗而不可泛飮之니라
     투쟁상화     비주불근         고      주유성패이불가범음지
 하늘에 제사를 지내고 사당에 제례 올림에도 술이 아니면 제물을 받지 않을 것이요. 임금과 신하, 벗과 벗 사이에도 술이 아니면 의리가 두터워지지 않을 것이요, 싸움을 하고 서로 화해함에도 술이 아니면 권하지 못할 것이다. 그러므로 술은 성공과 실패를 얻는 것으로 가히 함부로 마시지 못하느니라.
                                                                                                                                     명심보감 성심편상 - 사기 

 

728x90